연결과 융합의 시대, 경계를 넘어라
번역도 경계 넘기이다. 언어의 번역에서와 마찬가지로, 한 영역에서 성공한 창의적 발상을 전혀 다른 영역에 적용해보면, 이것이 또다른 창의적인 생각으로 이어진다. 유추가 겉으로 드러난 공통점을 찾아 두 영역을 연결한 것이라면, 번역은 적극적인 해석을 통해서 다른 영역으로 옮겨놓는 것이다. 마치 손 모양의 그림자가 조명의 각도에 따라서 전혀 다른 형상을 만들어내듯이, 번역은 변형의 과정이다. (10p)
|
김용학 지음 '생각, 엮고 허물고 뒤집어라 - 경계를 넘나드는 크로스 씽킹' 중에서 (21세기북스(북이십일)) |
한 우물을 깊게 파는 것도 중요하지만, 여러 우물들을 이해하고 그 관계들 속에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가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시대입니다. 창의적이거나 새로운 아이디어도 이렇게 '다른 우물'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창의성은 경계 넘기에서 시작된다"고 주장하는 저자는 그 방법 중 하나로 '번역'을 이야기합니다. 한 영역에서 성공한 아이디어를 다른 영역에 적용시켜보는 변형이 번역입니다.
하이패스 시스템을 지하철 교통카드로 '번역'하면 무엇이 될까요. 저자는 고속도로를 달리는 차가 정지하지 않고도 요금을 지불할 수 있는 기술을 지하철에 적용하면 우리가 지갑을 꺼낼 필요 없이 개찰구를 지나다닐 수 있을 거라고 말합니다.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도 '번역'의 한 예라고 저자는 말합니다. 이는 아서 브룩이 1562년에 쓴 '로메우스와 줄리에트의 비극적 역사'라는 3020행의 짧은 서사시를 창작 번역해서 만든 것이기 때문입니다. 셰익스피어는 그 서사시를 각색하고 살을 입혀서 '불후의 명작'을 만들어낸 것이지요.
"피카소는 '유능한 예술가는 모방하고 위대한 예술가는 훔친다'라고 말했다. 우리는 훌륭한 아이디어를 훔치는 일에 더욱 과감해져야 한다."
애플의 스티브 잡스가 한 말입니다. 예전에 경제노트에서 소개해드린대로, 잡스는 실제로 일본의 밥솥 제품에서 아이디어를 가져와 애플 노트북의 전원 어댑터인 '맥세이프'를 만들었지요.
연결과 융합의 시대. 자신의 분야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분야의 지혜와 성과에서 배우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