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희망을 주는 동기부여

인간의도리인오대덕목(五大德目)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지키자.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한글 사랑은 애국입니다

조경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

카테고리 없음

사잠(奢箴)...이라.

대한인 2013. 5. 4. 20:05

 

 
 
 
정약용 [ 1762.6.16~1836.2.22]
본관 나주(). 자 미용()·송보(). 초자 귀농(). 호 다산()·삼미()·여유당() 사암()·자하도인()·탁옹(籜)·.태수(叟)·문암일인()·철마산초(). 가톨릭 세례명 안드레아. 시호 문도(). 광주()(현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출생이다



사잠(奢箴)...이라.
 다산 정약용(丁若鏞) 선생은 사치를 경계하는 글 奢箴을 지었습니다.
사치할 사자에 경계할 箴자.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 실려 있는.
 사치를 경계하는 글. 사잠은 물질문명의 풍요 속에.
 과소비에 빠져 있는 우리들을 돌아보게 합니다.

毋曰麥硬이라...!

지금 먹는 보리밥이 맛없다고 불평하지 마라!

前村未炊라...!

앞집에는 그 마저 못 먹고 있다.

毋曰麻麤라...!

지금 입고 있는 옷이 누추하다고 불평하지 마라! 

視彼赤肌라...!

저들은 그마저 못 입고 떨고 있나니! 

내가 먹고 있는 음식이 맛이 없고,

입고 있는 옷이 누추하다고 불평하지 말고 그마저 못 입고 못 먹는 사람들을.
 늘 생각하며 고마운 마음으로 살아야 한다는 잠언입니다. 
검소하고 절제하고 사는 것은 미덕이 아니라 당연한 의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