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속의
음양오행
오늘날 우리가 쓰고있는 <한글>은 그 형성에서부터 음양오행의 이치를 담은
문자이다.
『훈민정음해례본』의 제자해(制字解)를 보면,
‘천지지도일음양오행이기(天地之道一陰陽五行而己)’라는 문구로 시작한다.
이는 ‘천지자연, 즉 우주만물의 원리는 음양오행 뿐이다’는
의미이다.
음양오행 ▒▒▒▒▒▒▒▒▒▒▒▒▒▒▒
우주 삼라만상은 밝은 것과 어두운 것, 하늘과 땅, 남성과 여성 같이
음양의
쌍으로 존재하며 또한 낮과 밤, 차고 기움, 밀물과 썰물 같이 음양의 이치로 변해간다.
그 음양운동이 구체적으로 펼쳐지는 모습이
오행으로, 만물은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의 다섯으로 변화·순환하며, 각각의 오행기운은 청-적-황-백-흑의 색깔에
배속된다.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의 원리를 따서 만들어진 모음은 점의 위치에 따라 음 또는 양이 되는데, 선의 위나 오른쪽에 점이 찍히면 밝고 따뜻한
양의 기운을, 아래나 왼쪽에 찍히면 어둡고 차가운 음의 기운을 띄게
된다
또 발성기관의 모양을 본 떠 만들어진 것이 다섯 개의 기본자음이며,
이것은 오행의 원리에 따른 것이다.
사람이 소리를 낼 때 입안의 목구멍에서 시작해 어금니, 혀, 이,
입술을 통해 나오게 된다. 이 때 혀 꼬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에서 기역(ㄱ, 木),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모양은
니은(ㄴ, 火), 입술의 모양은 미음(ㅁ, 土), 이가 서로 엇갈려있는
모양은 시옷(ㅅ, 金), 목구멍의 모양을 본 떠 이응(ㅇ, 水)이 만들어졌다. (참고 :
『훈민정음해례본』)
한글은 이처럼 만물에 적용되는 우주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기호이기 때문에,
오늘날 세상의 모든 소리를 표현해 낼 수 있는 유일한 문자가 된
것이다. 오행의 원리는 또 우리의 전통식탁에서도 찾아 볼 수 있는데 정월 보름에 먹었던
오곡밥이 대표적이다.
오곡이란 조, 기장, 보리, 쌀, 콩의 다섯가지 곡식을 일컫는 것으로
청, 황, 적, 백, 흑의 오행요소에 배속되는 오색(五色)이 조화되어 식탁에
오른다
이중 조는 익으면 노란 색을 띄나 이삭이 피어날 때엔 푸른색으로 출렁인다 해서
목(木,청색)에 배속되고, 콩은 검은콩을 가장 으뜸으로 꼽으므로
수(水,흑색)에 배속된다.
또한 한국의 전통문양이 바로 음양의 조화와 화합을 상징하는 태극문양과
태극선이었으니, 한복 도자기의 선과 태극선 부채, 장농의 장석, 비녀,
담뱃대 등은 물론, 풍물의 춤사위에도 태극의 이치가 깃들어
있다.
그 외에도 오곡밥과 함께 밥상에 올랐던 오합주,
다섯색으로 물들인 오색 색동저고리를 비롯해, 오색단청 등도 모두가 오행원리를 담은 것들이며,
일상생활에서 썼던 달력에도 일월화수목금토(日月火水木金土)의 음양오행원리가 들어있고, 한약을 조제할 때에도 음양오행의 원리가 사용되었다.
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