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희망을 주는 동기부여

인간의도리인오대덕목(五大德目)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지키자.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한글 사랑은 애국입니다

조경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

카테고리 없음

자연식의 보고 "동의생미

대한인 2014. 2. 2. 06:58

현미식을 하면 좋아지는 점

피가 맑아지므로 산성체질을 약 알칼리체질로 바꿔줍니다
    (암세포를 약 알칼리성에 넣으면 3~6시간내에 완전히 용해됨)
항암물질 (베타시스테놀) 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암을 예방합니다
식이섬유(불수용성 섬유질)와 소화효소가 풍부해서 소화가 잘되고 (완전연소) 변기가 해소됩니다
휘친산이 들어있어 중금속과 농약을 분해, 제거해 줍니다

현미식을 왜 먹어야 하는가

한 알의 쌀에는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을 비롯해 지방,칼슘,인,나트륨,철 등의 미네랄류,비타민B1,비타민B2,비타민B6,니코틴산,판토텐산,엽산,비타민E 등의 비타민류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현미를 정백(精白)해버리면 대부분 당질뿐인 별 볼 일 없는 하얀 식품이 되어 버리고 맙니다
비타민과 지방은 쌀의 배아에 많고 특히 비타민 E는 배아에만 함유되어 있으며 최근에 화제가 되고 있는 비타민 E를 비롯한 여러 영양소는 영양제를 사지 않더라도 현미 한 알 한 알에 단단하게 들어 있는 것입니다
정미기술이 발달되지 않은 시대의 쌀은 현미였으나, 정미기술의 발달로 지금의 하얀 백미가 유통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체에 꼭 필요한 영양분을 전부 깎아서 버려지고 전체 영양분 중 5%만이 식용으로 복용되고 있어서 백미병(白米病)의 원인이 되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이에 청정미곡처리장은 건강한 식생활 문화를 위해 동의생미 제품으로 현미식 권장에 힘쓰고 있습니다

현미란 무엇인가 [玄米,unpolished rice]

수확한 벼를 건조, 탈곡한 후 고무 롤러로 된 기계로 왕겨를 벗긴 쌀입니다
현미의 구조는 바깥쪽부터 과피(果皮)·종피(種皮)·호분층(糊粉層) 등의 싸겨층과 쌀알의 기부(基部)의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배(胚)와, 나머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배젖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배젖은 주로 녹말 입자로 차 있고, 백미로서 식용으로 하는 부분입니다
이상 각 부분의 현미 전립에 대한 중량비는 쌀겨층 5∼6%, 배 2∼3%, 배젖 92%의 비율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현미를 정미기(精米機)로 도정(搗精)하면, 현미 92%의 백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현미의 표준적 화학조성은 수분 15.5%, 단백질 7.4%, 지질(脂質) 3.0%, 당질 71.8%, 섬유 1.0%, 회분 1.3%, 비타민 B1은 100g 중 0.54mg으로 당질(녹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단백질이나 지방은 많지 않지만 비타민 B1은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현미는 백미에 비하여 저장성이 좋고, 충해나 미생물의 해가 적습니다
또 현미는 정백으로 인한 영양분의 손실이 없으므로 백미에 비하여 지방, 단백질, 비타민B1·B2가 풍부하며
가공으로 인한 양의 감소도 없습니다다
이런 점으로 현미식의 제창이 성하였으나, 맛이 백미보다 못하고 영양분이 충분히 소화·흡수되지 않으며, 밥짓기가 어려운 까닭으로 보급되지 않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현미밥
현미로 밥을 지을 때는 반나절 이상 물에 담가 두는 것이 좋고, 밥물은 현미 1에 대하여 1.5(백미에서는 1.2)의 비율로 붓습니다
단시간 내에 부드럽게 밥을 지으려면 압력솥을 이용하는 것이 좋은데, 고온 때문에 비타민B의 파괴가 크므로
알아두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