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먹는 쌀이 나오기까지 미곡종합처리장(RPC:Rice Processing Complex)도정처리과정
1. 벼 수매
수분률 15~15.5%의 벼를 사용
*가정용도정기는 수분율을 11~12%로 맞추어 도정합니다...
따라서 한국나락도정기판매에서 공급하는 나락은 별도의 건조과정을 거치지요...
2. 1차석발
석발기로 도정에 맞지 않는 벼 이외의 이물질(돌, 기타등)을 선별
3. 현미도정
현기기로 1차석발에서 선별한 벼에서 왕겨를 도정하여 현미를 생산
4. 이물질선별
선별기로 현미중에 쌀 이외의 이물질(청치, 쭉정이, 티끌 등)을 선별
5. 정미
정미기를 이용하여 현미를 각 업체의 주문내용에 따라 5/7/12분도미로 도정함
6. 1차선별
싸래기선별기로 백미(10~12분도) 등에 섞여 있는 부러진 쌀(절미)을 선별
7. 2차선별
색채선별기로 백미 중에 섞여 있는 썩은 쌀이나 청미, 앵미 등을 선별
8. 계량 및 포장
각 업체에서 주문한 포장지에 현미, 백미(800g~20kg)등을 계량하여 포장
9. 출하
각 업체에서 포장된 쌀을 운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