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포화지방과 나트륨 함량은?
- 라면 12종 비교 -
라면은 다소비 식품이지만 포화지방, 나트륨 등 건강 유해 가능성이 있는 성분을 적게 섭취하기 위해 섭취량 조절이 필요하다.
간편하고 경제적인 가공식품으로서 매우 다양한 제품이 판매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제품별 품질 및 안전성 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어 품질시험을 실시하여 소비자에게 선택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라면 12개 제품을 대상으로 영양성분 및 맛성분, 안전성, 표시실태, 가격 등을 조사하였다.
어떤 제품을 비교했나?
소비자 설문조사를 통해 선호도 높은 유탕·국물 봉지라면* 4개 업체의 12개 제품을 선정하였다.
*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97.2%가 유탕·국물라면을 주로 섭취하고, 90.3%가 12종 라면을 1순위로 선택
시험 대상 제품 | ||||
제품명 | 제조사 | |||
1 | 꼬꼬면 | (주)팔도 | ||
2 | 나가사끼짬뽕 | 삼양식품(주) | ||
3 | 너구리우동얼큰한맛 | (주)농심 | ||
4 | 무파마탕면 | (주)농심 | ||
5 | 삼양라면 | 삼양식품(주) | ||
6 | 스낵면쇠고기맛 | (주)오뚜기 | ||
7 | 신라면 | (주)농심 | ||
8 | 안성탕면 | (주)농심 | ||
9 | 오징어짬뽕 | (주)농심 | ||
10 | 진라면매운맛 | (주)오뚜기 | ||
11 | 참깨라면 | (주)오뚜기 | ||
12 | 틈새라면빨계떡 | (주)팔도 | ||
※ 제품명 가나다 순임. |
평가항목과 방법은 무엇인가?
시험·평가항목 선정 및 시험방법은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식품등의 표시기준」, 「한국산업규격(KS)」, 「미국분석화학규격(AOAC)」에 따라 진행되었다.
평가요소별 시험·평가 방법 | ||||
시험·평가 항목 | 시험·평가 방법 | |||
영양 성분 |
열량, 포화지방 등 |
·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포화지방 포함), 콜레스테롤, 칼슘 함량 측정 · 1회 섭취량에 따른 영양성분 구성 비교 · 1회 섭취량에 따른 영양성분 함량 기준 적합 확인 |
||
맛 성분 |
나트륨 | · 짠맛을 나타내는 나트륨 함량 시험 | ||
캡사이신류 | · 매운맛을 나타내는 성분 함량 시험 ① 고추 유래 캡사이신류 : Capsaicin, Dihydrocapsaicin ② 후추 유래 피페린(Piperine) 함량 시험 | |||
향미증진제 | · 식품의 감칠맛과 향을 증진시키는 향미증진제 성분 함량 시험 ① 글루타민산(L-Glutamic acid) ② 핵산조미료 : 5-이노신산(IMP, Inosine-5-monophosphate) 5-구아닐산(GMP, Guanosine-5-monophosphate) | |||
안전성 | 방사선 조사 | · 살균을 위한 방사선 조사 여부 및 표시 확인 · 식품 중 방사선조사는 발아억제, 식중독균 및 병원균 살균, 해충 사멸을 위해 방사선을 쬐는 방식으로 가공하는 것 | ||
벤조피렌 (Benzopyrene) |
· 1등급 발암물질 검출 여부 확인 | |||
표시 실태 |
내용량, 외관 | · 내용량 표시기준 적합 확인 · 이미·이취(異味·異臭, 이상한 맛과 냄새) 등 이상 유무 확인 | ||
설문조사 | · 주요 구매제품, 섭취 빈도, 구입 시 고려요인 등 도출 | |||
가격 | · 대다수의 소비자가 이용하는 구입처 및 구입단위를 도출하여 일정기간 가격조사 |
시험해보니 이렇습니다
라면의 포화지방은 1일 영양소기준치의 51.3%, 나트륨은 86.5% 수준이었다.
포화지방 함량은 1봉에 6.3∼9.1g 수준으로 제품별 최대 1.4배 차이나고, 1봉당 평균 7.7g으로 1일 영양소기준치 15g의 51.3% 차지했다. 라면의 면을 튀길 때 사용하는 팜유는 다른 식물성유지에 비해 포화지방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포화지방의 과다 섭취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불포화지방이 높은 대체유로 개선 필요했다.
나트륨 함량은 1봉에 1,350∼2,069mg 수준으로 제품별 최대 1.5배 차이나고, 1봉당 평균 1,729mg으로 1일 영양소기준치 2,000mg의 86.5% 차지했다. 최근 정부의 나트륨 저감화 정책에 따라 일부 업체는 나트륨 저감화 노력의 일환으로 나트륨 함량을 낮춘 제품을 재출시하여 유통 중이지만, 여전히 나트륨 함량은 높은 편이었다.
소비자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업계의 지속적인 포화지방과 나트륨 저감화 노력이 필요하다.
제품별 영양성분의 차이 있어, 표시된 영양성분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봉의 평균 영양소 섭취량은 한 끼 영양소기준치 대비 단백질 56.3%, 탄수화물 71.6%, 지방 97.6% 수준으로 한 끼 식사대용으로는 부족했다. 칼슘 함량은 29.2∼221.2mg 수준으로 제품별 최대 7.6배 차이나고, 1일 영양소기준치 700mg의 4.2∼31.6%를 차지했다.
전제품에서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은 불검출, 방사선 조사는 행해진 제품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