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딧물의 피해를 받으면 신초의 생장이 짧아지며 잎이 조밀하게 나있어 수형이 나빠지며 낙엽이 되어도 가지에 쌓이게 되고 잎과 가지가 진딧물의 감로(甘露)에 의하여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검게된다. 그을음병은 잎의 탄소동화작용을 방해하여 수세를 쇠약하게 한다. 또한 각종 병충해를 유인하게 되어 식물 바이러스, 엽고병, 피목지고병의 발생의 원인도 된다. |
|
|
||
|
정확한 생태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수정난으로 신초에서 월동하고 봄이 되면 부화하여 단위생식*처녀생식으로 계속 개체수가 증가한다. 여름에 고온다습하면 개체수 증가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가을이 되어 고온 건조하면 다시 개체수가 증가한다. 늦가을이 되고 월동시기가 가까워지면 유시충이 발생되어 교미하고 산란한다. 일반적으로 이때 성충이 이동하여 진딧물을 전파하는 듯하다. 진딧물도 응애와 마찬가지로 고온다습하면 번식력이 약화하지만 봄, 가을, 한발이 계속되면 대발생되어 큰 피해를 주고 장마철이 되면 방생이 억제된다. |
|
|
||
|
진딧물은 흡수성 해충으로 몸이 크고 노출되어 있으 진딧물 약재를 살포하면 구제가 쉽게 이루어 진다. 그러나 수목은 농작물과 달리 고르게 충분한 약재를 살포하기 어려우므로 침투성 농약을 살포하여야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침투성 약제로는 수간주사, 뿌리관 주사로서도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침투성 농약으로 포스팜 액제, 모노포 액제, 아시트 유제, 메타 유제와 피리모 수화제, 오트란 수화제등 많은 액제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