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희망을 주는 동기부여

인간의도리인오대덕목(五大德目)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지키자.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한글 사랑은 애국입니다

조경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

카테고리 없음

[접목/삽목] 3. 바탕나무의 영향

대한인 2015. 9. 28. 03:59

3. 바탕나무의 영향

가. 바탕나무는 자람에 어떤 영향을 주나

바탕나무가 접순나무의 내림성을 바꿀 수는 없지만 접순나무의 성질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옛부터 복숭아의 바탕나무로 자두나무를 써서 복숭아나무의 키가 못크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크지 못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종류가 다른 사이의 접목과 속이 다른 사이에 접목을 하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호도나무의 바탕나무의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면 줄기자람과 나무굵기가 가장 왕성한 것은 왕가래나무 바탕나무에 왕가래나무의 접순을 접한것이 가장 좋고, 다음가는 것은 왕가래나무 바탕나무에 호도나무를 접한 것이고 가장 나쁜것은 호도나무 바탕나무에 호도나무를 접한 것이 자람성이 좋지 않았다.
사과나무는 영국에서 오랫동안 연구끝에 접순에 대한 영향이 세고 그리고 안정한 바탕나무를 만들어 냈다. 즉 사과나무에서는 이엠9(EM9)라고 불리우는 바탕나무는 가장 난쟁이성이고 그리고 비교적 빨리 열매를 맺게 한다. 이엠7(EM7), 이엠4(EM4)는 반 난쟁이 성의 바탕나무이며 이 두종류는 어릴때는 높은나무의 성질을 가지지만, 곧 그 왕성한 자람성은 없어지고, 열매를 많이 맺는 성질을 가지게 된다. 포도는 바탕나무의 품종이 줄기의 자람량(생장량)과 소출에 영향하고 있다. 배나무에서는 바탕나무의 성질로서 가지고 있는 상처가 접순의 과일에 나타나거나 복숭아나무에서는 바탕나무의 과일맛이 접순에 옮아 가는 수가 있다.

나. 바탕나무의 영향때문에 병충피해에 견디는 힘은 어떻게 변하는가

바탕나무로 인하여 접순나무를 병 벌레의 피해로부터 막아내고 잘 가꿀 수 있는 것은 접목의 가장 이로운 점이다. 그 유명한 예는 포도재배에서 "필로기세라"에 견디는 바탕나무와의 접목이 있다. 즉 "필로기세라"는 1856년 미국에서 발전된 해충이다. 이 벌레는 포도의 뿌리에 기생하고 벌레집을 만들어 나무로 부터 영향분 수분을 흡수하여 나무를 말라죽이는 벌레인데 한때 이 벌레가 미국에서 유럽으로 건너가 이 벌레에 대하여 견디는 힘이 전혀없는 유럽계통의 포도는 일시에 전멸상태에 있었다. 그때 미국의 들포도가 경제적으로는 가치가 없었지만 "필로기세라"에 대해서 견딜성이 있는 것이 여러종 있어, 이 종류와 유럽의 포도바탕나무와의 붙이기(교배)를 하여서 얻은 종류에 의해 구하였다고 한다.
사과나무에서도 바탕나무의 종류에 따라서 조피병을 예방할 수 있다. 즉 "국광"과 "스타킹"의 접순은 둥근 암아그배나무의 바탕나무에 접을 하면 이 병피해는 없다.

다. 바탕나무는 내한성(추위에 이기는 성질)에 어떤 영향을 주나

귤나무류의 바탕나무로 쓰이는 탱자나무는 얕은 뿌리성(천근성)이지만 유자나무는 깊은 뿌리성(심근성)임으로 이 성질을 이용하여 각각의 심을곳에 맞는 바탕나무를 쓰고 있고, 고욤나무는 추위에 견디는 힘이 있어 추운지방에 심을 감나무의 바탕나무로 쓰이고 있다. "그레쁘휄쯔 귤나무"는 "마후귤나무"를 바탕나무로 하면 추위에 견디는 힘이 세지고, 그리고 보다 더 추위에 강하게 하기 위하여 "그레오파트라만다링 귤나무"를 바탕나무로 쓰고 있다.
호도나무도 바탕나무에 따라서 추위에 이기는 힘이 달라지기 때문에 추운지방에 심을 나무의 바탕나무로는 가래나무가 쓰이고 있다.

라. 중간바탕나무(중간대목)에 대하여

중간바탕나무라고 하면 바탕나무에 접목을 하고 다시 그 위에 접순을 붙일때의 가운데(중간)에 붙인 바탕나무를 말하는데 이때는 접을 두번 붙이기 때문에 "2중 접붙이기(이중접목)"라고도 부른다. "2중접붙이기"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 바탕나무와 접순나무 사이에 사귐성이 없을 때
(나) 병에 견디는 성질의 줄기가 필요할 때
(다) 중간바탕나무에 의하여 난쟁이를 만들고 싶을 때
(라) 기운찬 줄기와 가지를 내게할 필요가 있을 때
이 방법은 미국에서, 과일나무에 대하여 효과를 보고 있다. 즉 사귐성이 없는 것을 2중 접붙이기에 의하여 가운데 오는 바탕나무에 의하여 사귐성을 주는데 성공하고 있다. 그 한예로는 "바드레트배나무"를 "구잉스 배나무"에 직접 접하면 사귐성이 없어 붙지 않지만 이들 중간에 "하데이 배나무"를 중간바탕나무로 써서 사귀성읕 주고 있다. 접붙이는 차례는 그림 3과 같다.
이때 중간바탕나무는 그 길이가 길면 길수록 중간바탕나무의 영향이 크게 미치고 있어 유럽지방에서는 중간바탕나무를 2cm까지 써서 사과나무, 배나무, 과수원을 만들고 있는 예도 있다.

마. 바탕나무와 접가지(수목)

바탕나무가 다르면 접순나무의 자람새가 달라지고, 따라서 꽃과 열매달리기 맛까지도 달라지는 수가 있고, 그러고 벌레나 병피해는 물론 자라고 있는 곳에 대한 적응성도 달라지는 수가 많다. 그러나 접순나무가 바탕나무에 주는 영향도 여러가지가 있다.
접순과 바탕나무의 접붙인 곳이 그 경계가 눈에 띠지 않는 것은 사귐성이 있기 때문인데 만약 그 경계가 눈에 띠어서 구별이 되는 것은 자람에 차가 있는 까닭이다.
잣나무를 잣나무에 접을 붙이면 붙인곳이 눈에 안띤다. 이것은 두나무의 생활작용이 같기 때문인데 많은 경우를 보면 이런 상태의 나무는 수명이 길고 나무자람새가 강하고 씨가 많이 달린다.
그런데 잣나무를 같은 잣나무에 접을 하였을 때 바탕나무가 더 굵어지는 좋지않은 현상이 생기는 수도 있다.(그림 1) 이것은 같은 종류이지만 잣나무의 산지가 다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보기드문 예이다.
밤나무에서는 접이 되어 수년 잘자라고 있던 것이 접을 붙인 자리에서 부러지는데 그 부러진 곳이 그림4와 같이 매끈한 현상이 일어나는 수가 있다. 

김정석/임목육종연구소 육종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