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종 흑두루미 선발대 도착
달성습지 하중도내 3마리, 구미 해평습지 2마리 안착
달성습지내 하중도에 멸종위기종 2급 흑두루미 3마리가 올해 처음으로 안착했다.
○ 과거 흑두루미 최대 도래지였던 달성습지의 위상을 회복하고, 철새들이 다시 찾아드는 지역의 대표 생태관광명소로 만들기 위해 매년 달성습지 하중도 약 130천㎡ 규모에 철새 먹이터를 조성하고 철새 먹이공급 등 철새 서식환경 개선사업을 전개한 노력이 성과를 거두고 있다.
○ 과거 달성습지는 세계적인 흑두루미 월동지(200~500개체)였으나, 그동안 인근의 공단․주택단지 건설 및 도로조성 등으로 철새 서식여건이 악화되어 철새가 찾아오지 않다가 하중도 복원 등 여건이 나아짐에 따라 2013년부터 매년 흑두루미가 도래하고 있다.
○ 이에 따라 대구시는 대구지방환경청, 달성군, 고령군 등과 작년부터 낙동강 두루미 네트워크를 구성해 철새먹이 공급 책임구역을 지정했다. 또한, 내년 3월말까지 약 10톤 정도의 충분한 먹이를 공급하고, 달성습지 내․외 정온한 환경유지를 위해 사람들의 출입을 제한했으며, 소음, 불빛발생 등 철새 교란행위를 지속적으로 감시․계도해 철새들에게 편안한 쉼터, 안전한 보금자리가 되도록 조성할 계획이다.
○ 그동안 하중도내 청보리 파종, 철새먹이 공급 등 다양한 방법으로 철새들이 좋아하는 서식환경 조성에 노력한 결과, 2013년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이자 천연기념물 제203호인 재두루미 403마리가, 2014년에는 멸종위기종 2급 흑두루미 109여 마리가 달성습지에 찾아오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
○ 달성습지에는 현재 56여종의 조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관찰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겨울 철새로는 고니, 흰꼬리수리, 흰뺨검둥오리, 홍머리오리 등이 있다. 달성습지의 생태환경이 회복되면서 2005년 조류종수가 15여종이던 것이 점차 다양화되고, 개체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