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병증 파악·진단 후 적절한 조치 취해야
나무가 병들고 쇠약해 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일단 나무가 병증을 보이면 제일 먼저 할 일은 원인을 찾는 것이다.
예를 들어 토양이 불량해 일부 가지가 말라 죽은 후 병충해가 침입하는 경우, 이식 후 쇠약해진 틈을 타 병충해가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분 부족이나 광선, 양분 등 식재된 곳의 환경이 나빠진 경우에 해충이나 세균, 곰팡이 등에 쉽게 감염된다.
때로는 미량원소의 부족으로 발생한 병증이나 공해로 인한 병증을 세균에 의한 것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다.
♣ 효과적인 병충해 구제
효과적인 병충해 구제를 위해서는 병든 나무를 잘 살펴봐서 해충에 의한 병증인지 세균이나 곰팡이에 의한 것인지 살펴봐야 한다. 정확한 진단이 있어야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병증의 원인을 파악한 결과 병충해라고 판단되면 구제에 적절한 농약을 구입하여 살포해야 하며 희석배율 및 용법에 따르도록 해야 한다.
병충해를 구제한 후에는 나무의 생육환경을 면밀히 살펴보고 관리에 소홀함이 없었는지 등을 파악해 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죽은 가지와 병든 가지를 제거해 소각하고 채광과 통풍을 방해하는 가지들을 솎아 주는 것도 추가적인 병충해 예방에 도움이 된다.
간혹 아파트 단지 내에 잘라진 폐나무 가지와 고사목이 방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폐가지와 고사목은 각종 해충과 유해 세균 곰팡이의 온상이 되어 주위의 건강한 나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폐가지와 고사목은 반드시 없애 주고 병든 나무 주위의 낙엽들도 소각해 줘야 한다.
병충해 예방의 가장 좋은 방법은 나무를 생육 적지에 식재하고 전정, 시비, 관수 등을 적절히 실시해 건강하게 키우는 것이다.
♣ 대표적인 해충
대표적인 해충으로는 진드기, 응애, 패각충(깍지벌레) 등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의 수목에 기생한다.
① 진드기:수액을 빨아먹어 수세(樹勢)를 약화시키며 새순이 나오는 시기에 발생한다.(겨울은 활동을 못하지만 타 계절은 시기를 가리지 않음) 진드기는 발견되는 즉시 살충제 등을 살포해 구제해야 한다. 한 마리만 있어도 곧 번식하기 때문이다.
② 응애(기온이 높고 공기가 건조할 때 발생):잎 뒤를 살펴보면 가루처럼 작은 적갈색의 벌레가 있는데 이것이 응애이다. 사과응애, 벚나무응애, 귤응애, 꽃·야채·과수 등에 널리 기생하는 점박이응애, 장미 등에 주로 기생하는 붉은응애 등이 있다.
이는 철쭉류, 능금나무, 아기배나무 등에도 피해를 준다. 증상은 잎이 생기를 잃고 누르스름한 색으로 변한다. 방제법은 디코폴을 2~3회 간격을 두고 살포하는 것이다. 물을 줄 때마다 잎 뒷면에 물이 닿도록 끼얹어 주면 좋다.
③ 패각충(깍지벌레):몸길이 4㎜ 이하. 껍데기는 원형 또는 장형으로, 표면이 약간 부풀고 단단한 것과 부드러운 것이 있다. 껍데기 표면은 흰색·회색·갈색·암적색·검은색 등 여러 가지 색깔이다. 유충은 밀랍질의 물질을 분비하여 껍데기를 만든다. 잡목류(매화, 모과나무)의 줄기나 가지에 붙어서 수액(樹液)을 빨아 수세를 약화시킨다. 귤나무류나 정원수를 해치기도 하며, 동백나무·진달래 등의 가지나 원줄기에 붙고, 온실 내의 관엽식물에 붙어 해를 끼치기도 한다. 발생하면 곧 훼녹시카브 수화제, 아조포(유), 이피엔 등을 살포하여 구제(온 몸을 덮고 있는 껍질 때문에 효과가 적다)해야 한다, 일일이 찾아내어 대 꼬챙이로 털어 내어 죽여야 하며 겨울철에 석회황합제(石灰黃合製)를 살포하면 예방효과가 탁월하다.
※ 석회황합제 - 생석회·소석회와 황을 물로 조합해 만든 알칼리성 농약. 19세기에 발명된 농약으로 살충·살균 작용이 있다. 흰가루병이나 곰팡이병 등의 병해나 진디류의 방제에 이용되며 깍지벌레 구제에는 진한 용액을 겨울철에 사용한다. 다른 농약과 혼용할 수 없다.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약해(藥害)가 생기기 쉬우나 가격이 저렴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박 성 진 한마음조경회 강사
(http://landartist.hihome.com)
아파트관리신문 webmaster@aptn.co.kr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