팥은 한방에서는 부기를 제거하고 당뇨병을 의미하는 소갈병을 치료하는 효과 있다고 한다. 팥에는 탄수화물이 약 50 % 단백질이 약 23 % 포함되어 있고 식이섬유, 비타민 B1, 아미노산인 리진과 메티오닌이 포함되어 있다. 리진과 메티오닌은 우리의 주식인 쌀에는 부족한 아미노산이다. 우리나라에서 동지네는 팥죽을 정월 대보름에는 오곡밥을 먹는 풍속이 잇는 것도, 아미노산과 단백질이 풍부한 팥죽으로 혹독한 겨울을 대비하도록 체력을 보강하고, 오곡밥으로 겨울 동안 고갈된 체력을 보충하던 생활의 지혜가 아닐까한다.
따끈하고 달콤한 단팥죽이 유난히 추운 날씨에 얼어 버린 식구들의 몸과 마음을 따뜻하게 녹여 줄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면서 지난 일요일에는 단팥죽을 만들었다.
준비물
1. 팥 500 gr
2. 꿀 300 gr
3. 고은 소금 1/2 Ts
4. 계피가루1 Ts
5. 찹쌀가루 1 Ts
6. 껍질 벗긴 밤 한 컵
7. 잣 1/2컵
8. 인절미 약간
만들기
1. 팥을 깨끗하게 씻어서 밤 새 불린다.
2. 밤 새 불린 팥을 압력 밥솥에 넣고 물1.5 리터를 넣은 후 약 30 분간 끓인 후 솥이 완전히 식을 때까지 뚜껑을 닫은 상태로 뜸을 들인다.
3. 솥이 다 식은 후에 뚜껑을 열고 나무 주걱으로 팔을 으깬다.
4. 으깬 팥에 물 1리터를 넣고 골고루 섞은 후 블랜더로 가볍게 간다.
5. 블랜더에 간 팥을 체로 걸러서 껍질을 제거한다.
6. 껍질까지 제거한 갈은 팥에 꿀과 계피가루를 넣는다. 단맛을 더 원할 경우에는 설탕이나 인공감미료를 기호에 맞게 넣는다.
7. 찹쌀가루는 물 약 100 cc에 응얼이가 생기지 않도록 잘 개어서 갈아 놓은 팥에 섞는다.
8. 중간불에 #7을 넣고 밤과 잣을 넣고 천천히 끓인다.
9. #은 냄비 밑에 눌러 붙기 쉬우므로 나무주걱으로 저으면서 끓인다.
10. #9가 충분히 끓으면 불에서 내려 놓고 인절미를 주사위같이 썰어서 넣는다. 일본사람들은 인절미를 불에 살짝 구워서 올리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