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토양 상태 면밀히 파악한 후 수분 공급해야
![]() | ||
▲ 침수식 관리법 | ||
수분 공급은 조경수목의 유지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기 때문에 수목과 토양의 상태를 면밀히 파악해 관수를 실시해야 한다.
수목의 잎이 시들지 않았는지, 표토를 손으로 쥐었을 때 건조하거나 습하지 않은지, 뿌리가 제대로 뻗어내려 증산흡수작용을 원활히 하고 있는지, 엽면의 온도가 대기온도와 유사한지를 파악해 건조할 경우 관수를 실시하게 되는데 토양수분이 부족하면 수목의 뿌리가 지표면을 중심으로 얇게 뻗어 내려 생기를 잃게 되므로 수분은 가능하면 충분히 공급해 주는 것이 좋다. 다만 과다한 급수시에는 토양의 통기성에 영향을 줘 뿌리조직의 원활한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관수방법은 크게 급수식, 도랑식, 스프링클러식으로 나뉜다.
급수식 관수법은 수간의 주위에 도랑을 파 호스 등을 이용, 수분을 공급해 주는 방법으로 토성과 급수구의 위치를 고려해 고르게 수분을 공급해야 한다.
도랑식 관수법은 수목을 중심으로 도랑을 파 수분을 공급하는 것으로 비교적 균일하게 관수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스프링클러식 관수법은 스프링클러를 이용해 일시에 큰 면적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토양의 경도가 증가되고 지표면의 유실을 가져 오기가 쉬우며, 인위적으로 조작할 경우 필요 이상으로 많은 수분이 공급돼 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가져올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2) 관수방법
(1) 급수식 관수법(basin irrigation):수간의 주위에 도랑을 파서 유수 또는 호스, 스프링클러 및 급수차 등에 의해 수분을 공급해 천천히 스며들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급수구의 위치나 토성에 따라 고르게 관수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관수시 급수구 쪽은 유속에 따라 표토가 유실돼 지표가 파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자갈 등으로 피복한 후에 관수하는 것이 좋다.
(2) 도랑식 관수법(furrow irrigation):이 방법은 투수율, 도랑의 경사도 및 유속 등에 따라 도랑을 통해 비교적 균일하게 관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수목을 중심으로 3개의 도랑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의 여유가 있다면 이 방법으로 설치하면 투수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랑의 길이는 급수구를 몇 개 설치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3) 스프링클러식 관수법(springkler irrigation):스프링클러로 관수시 스프링클러의 체계나 설계, 수압 및 풍향조건 등에 따라 관수의 균일성이 달라진다. 스프링클러 관수는 정상적인 속도보다 토양내로의 투수가 빠르기 때문에 유량을 조절해야 한다. 한편 관수는 아침 일찍 해주는 것이 좋다. 이는 관수시 다른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고, 엽면의 수분건조속도가 다소 느리며,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프링클러에 의한 관수는 일시에 큰 면적을 동시에 관수할 수 있으며, 노동력이 절감되고 비교적 균일한 상태로 관수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토양의 경도가 증가되고 지표면의 유실을 가져오기 쉬우며, 인위적으로 조작시 필요 이상으로 많은 수분이 공급돼 오히려 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가져올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아파트관리신문> 이현아 기자 aseru@aptn.co.kr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