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희망을 주는 동기부여

인간의도리인오대덕목(五大德目)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지키자.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한글 사랑은 애국입니다

조경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

카테고리 없음

토양관리 ⑥ 시비 : 미량원소의 결핍

대한인 2016. 2. 19. 06:06


수목상태 면밀히 관찰해 부족한 미량원소 보충해야



미량원소는 극히 적은 양만 있어도 되지만 식물이 정상적으로 생장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원소이며, 붕소, 구리, 철, 망간, 몰리브덴, 아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미량원소가 부족하면 수목의 잎이 변색되거나 시들고, 열매가 작게 맺히는 등의 현상이 나타나며, 이 경우 수목에 나타나는 증상을 면밀히 관찰해 부족한 미량원소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만 한다.

2) 미량원소
(a) 붕소(Br)
·결핍현상:활엽수의 경우 잎은 대체적으로 적색을 띠며, 특히 어린잎에 그 증상이 먼저 나타난다. 잎은 대체적으로 작고 두꺼워지며, 수종에 따라서는 뒤틀리는 것도 생긴다. 열매의 경우 쭈그러지며 괴사한다. 침엽수의 경우 줄기의 끝부분이 ‘J’자 형태로 굽어지며 정아 및 측아(側芽)가 고사하게 된다.
·시비방법:토양의 경우 붕사(Borax)를 투여하는데 사토의 경우 100m²당 0.2~0.5kg, 점토의 경우 0.5~1.0kg씩을 시비한다. 엽면시비의 경우에는 붕산을 100ℓ당 0.125~0.250kg씩 희석해 살포한다.

(b) 구리(Cu)
·결핍현상:활엽수의 경우 정상적인 잎보다는 그 크기가 작으며, 새 가지의 끝부분이 갈색으로 변한다. 특히 어린 침엽(針葉)은 잎의 끝부분이 고사하며 조기에 낙엽현상을 보인다.
·시비방법:토양의 경우 황산동 100㎡당 사토일 때는 0.5~ 1.5㎏, 점토일 때는 1.5~5.0㎏씩을 시비한다. 엽면시비의 경우 황산동을 100ℓ당 0.5~0.8㎏을 희석해 엽면시비하도록 한다.

(c) 철(Fe)
·결핍현상:활엽수의 경우 어린잎은 황색으로 변하며 정상적으로 생육을 하는 잎보다는 그 크기가 다소 작다. 새 가지의 경우 정상적으로 생육하나 크기가 작고 조기에 낙엽현상을 보이는 것이 많다. 열매의 색깔은 암색(暗色)을 띠며, 수종에 따라서는 조기에 낙과현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침엽수의 경우 백화현상을 보인다.
·시비방법:토양의 경우 황산철을, 사토의 경우 100㎡당 12㎏, 점토의 경우 18㎏씩을 시비한다. 엽면시비의 경우는 황산철을 100ℓ당 0.5㎏씩 희석해 살포한다.

(d) 망간(Mn)
·결핍현상:활엽수의 경우 잎이 황색으로 변하며, 엽맥을 따라 녹색선이 생긴다. 열매는 정상적인 것보다 그 크기가 작다. 침엽수의 경우 철분의 부족현상과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구별하기가 비교적 어렵다.
·시비방법:토양의 경우 황산망간을 100㎡당 2~10㎏씩 시비하며, 엽면시비의 경우 100ℓ당 0.25~1.0㎏씩을 희석해 살포하도록 한다.

(e) 몰리브덴(Mo)
·결핍현상:활엽수의 경우 잎에 나타나는 증상은 질소의 부족현상의 경우와 유사하며, 잎의 폭이 다소 좁아진다. 꽃은 크기가 작고, 적게 맺힌다.
·시비방법:토양시비의 경우 Na₂, MoSO₄, 2H₂O나 (NH₄)₂, MoO₄, 2H₂O를 100㎡당 2~20g씩 지표면에 살포하며, 엽면시비의 경우 100ℓ당 10~100g씩을 희석해 엽면살포한다.

(f) 아연(Zn)
·결핍현상:활엽수의 경우 잎은 황색으로 변하며, 정상적인 잎과 비교해 그 크기가 작고 엽폭(葉幅)이 좁으며 낙엽현상을 보인다. 싹은 보다 가늘고 끝부분이 고사한다. 열매는 무게가 다소 가볍고 특히 열매의 끝부분이 뾰족해진다. 침엽수의 경우 가지와 잎의 크기가 매우 작아지고, 잎은 황색으로 변한다.
·시비방법:토양시비의 경우 킬레이트(chelate)를 100ℓ당 0.125~0.25kg씩 희석해 엽면에 살포한다.




<아파트관리신문> 이현아 기자  aseru@aptn.co.kr

<저작권자 © 아파트관리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