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희망을 주는 동기부여

인간의도리인오대덕목(五大德目)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지키자.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한글 사랑은 애국입니다

조경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

카테고리 없음

國寶 巡禮 (5) - 陶磁器 (1)

대한인 2016. 3. 1. 18:31

 

 

陶磁器 國寶 (1)

 

國寶 68호   청자상감운학문매병

靑磁象嵌雲鶴文梅甁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

  호사스러움으로 보나 크기로 보나 고려(高麗) 상감청자 매병의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다

 

國寶 252호   청자음각연화문매병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매병으로 높이 27.7㎝,

아가리 지름 5.3㎝, 밑 지름 10.6㎝이다.

작고 나지막한 아가리가 달린 고려시대의 전형적인 매병으로,

팽배하게 벌어진 어깨가 부드럽게 흘러내린

균형 잡힌 모습을 보이고 있다.

 

國寶 254호   청자음각연화절지문매병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매병으로 높이 43.0㎝,

아가리 지름 6.3㎝, 밑 지름 15.3㎝이다.

현존하는 매병 가운데 뚜껑과 밑짝을

한 벌로 갖춘 유일한 것으로,

당당한 조형과 세련된 문양을 지닌 12세기

전반기의 독보적인 작품이다.

 

國寶 114 호  청자상감 모란국화문과형병

고려 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참외모양의 화병으로,

높이 25.6㎝, 아가리지름 9.1㎝, 밑지름 9.4㎝이다.

 

國寶 169 호  청자 양각죽절문병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청자병으로 높이

33.8㎝, 입지름 8.4㎝, 밑지름 13.5㎝이다

 

國寶 94호   청자소문과형병

靑磁素文瓜形甁

서울 용산구 용산동 국립중앙박물관

경기도(京畿道) 장단군(長湍郡) 장도면(長道面)의

고려(高麗) 인종(仁宗) 장릉(長陵)에서

황통(皇統) 6년(1146) 기년(紀年)이 들어 있는

인종(仁宗) 시책(諡冊)과 함께 발견된 화병(花甁)이다.

 

國寶 97호  청자음각연화당초문매병

靑磁陰刻蓮花唐草文梅甁

국립중앙박물관

 원래 이 매병의 양식은 중국 당(唐)·송(宋)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는데,

고려(高麗) 초기에 전래된 이후 곡선이나 양감(量感)에서

중국(中國)과는 다른 방향으로 세련되기 시작하여,

고려(高麗)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창조하게 된 것이다.

 

國寶 66호   청자상감유죽연로원앙문정병

靑磁象嵌柳竹蓮盧鴛鴦文淨甁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

 고려청자(高麗靑磁)의상감(象嵌)기법이

이미 12세기 전반기에 시작되었으리라는 것은,

문공유(文公裕) 묘지(墓誌)와 함께 석관(石棺)에서 출토된

청자상감보상화문완(靑磁象嵌寶相華文완)(1159))이

보여 주는 뛰어난 상감기법으로 보아서도 넉넉히 짐작할 수 있다.

 

國寶 116 호  청자상감 모란문표형 병

12세기 중엽의 고려시대 청자 주전자로

크기는 높이 34.4㎝,아가리지름 2㎝, 배지름 16㎝,

밑지름 9.7㎝이다.

 

 國寶 133 호   청자진사연화문표형주자

고려 중기에 만든 청자 주전자로 높이 33.2㎝, 밑지름 11.4㎝이다.

진사의 빛깔이 뛰어나 고려청자 역사상 귀중한 자료가 된다

 

國寶 98호  청자상감모란문항

靑磁象嵌牡丹文缸

국립중앙박물관

  오지그릇 중에 이와 흡사한 규모의 그릇이 남아 있다.

또, 조선(朝鮮)시대의 유적에서 출토되는 분청사기

질그릇 중에서도 이와 거의 같은 모양을 간혹 볼 수 있다.

 

國寶 115호   청자상감 당초문완

고려 의종 13년(1159)에 죽은 문공유의 묘지

(墓誌;죽은 사람에 대한 기록을 적은 글)와

함께 경기도 개풍군에서 출토된 것인데, 연대를 알 수 있는

상감청자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國寶 270호  청자모자원형연적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연적으로,

크기는 높이 9.8㎝, 몸통 지름 6.0㎝이다.

어미 원숭이 머리 위에는 지름 1.0㎝ 정도의 물을 넣는 구멍이,

새끼의 머리 위에는 지름 0.3㎝인 물을 벼루에 따라내는 구멍이

각각 뚫려 있어 연적임을 알 수 있다.

 

國寶 74호  청자압형수적

靑磁鴨形水滴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

 비색(翡色) 상형청자기(象形靑磁器) 중에서도 뛰어나게 정교한 작품의 하나이다.

유약과 태토(胎土)의 질(質)이나 세련된 상형기법으로 보아,

12세기 전반기에 전남(全南) 강진군(康津郡) 사당리(沙堂里) 가마에서

생산되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國寶 61호   청자비룡형주자  

靑磁飛龍形注子

서울 용산구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용두어신(龍頭魚身)처럼 보이는 일종의 어양(魚樣)을 상형(象形)한

몸체에 연(蓮)줄기 모양의 손잡이를 단 주전자이다.

이런 상형청자의 뛰어난 파편은 전남(全南) 강진군(康津郡)

사당리(沙堂里) 요지(窯址) 조사에서 발견된 예가 많다.

 

國寶 60호  청자사자유개향로

靑磁獅子유蓋香爐

국립중앙박물관

 12세기 전반기는 고려(高麗)의 청자가 유약의 발색(發色)과

태토(胎土)의 정선(精選) 및 번조(燔造) 등 기술에서

고도로 세련되어 이른바 비색순청자(翡色純靑磁)의 전성기였다.

따라서 이 시대의 청자는 유약에 거의 식은테가 없고

송인(宋人)들이 일컬었던 소위 천하제일이라는

비색유(翡色釉)의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있었다.

 

國寶 173호  청자 철채퇴화점문나한좌상

 

 

1950년대 강화도 국화리에서 발견되었는데,

당시에 여섯조각으로 부서져 있던 것을 복원시켜 놓은 것이다

이 작품은 사색하듯 숙연히 아래를 내려다보는

자세와 책상, 바위대좌의 처리 등에서

고려시대 공예조각을 대표할 수 있는 걸작이라고 할 만하다.

 

國寶 65호   청자기린유개향로 

靑磁麒麟유蓋香爐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

 꿇어 앉은 기린(麒麟)을 상형(象形)한 향로로서,

사자향로(獅子香爐)(국보(國寶) 제60호)와

거의 같은 구상으로 의장되어 있다.

 

國寶 95호 청자칠보투각향로

靑磁七寶透刻香爐

국립중앙박물관

 3마리의 토끼가 떠받치고 있는 3릉(稜) 화반(花盤) 위에

앙연화판(仰蓮華瓣)으로 겹겹이 싸여 있는,

화사(火舍)가 놓여 있는 형식의 향로이다.

 

國寶 96호  청자귀형수병

靑磁龜形水甁

국립중앙박물관

  앙련(仰蓮)받침 위에 꿇어 앉은 거북을 상형(象形)한 수병(水甁)이다.

일반적으로 불상(佛像) 조각이 퇴조(退潮)를 보이던

그 시대의 풍조에 비하면,

매우 세련된 이 공예조각의 발전은 참으로

기이한 대조(對照)현상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國寶 167 호   청자인형주자

 

 고려시대의 만들어진 상형청자로

높이 28.0㎝, 밑지름 11.6㎝의 주전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