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희망을 주는 동기부여

인간의도리인오대덕목(五大德目)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지키자.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한글 사랑은 애국입니다

조경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

카테고리 없음

조경수종 별도의 시비관리 및 재배적지

대한인 2016. 9. 5. 17:12

감나무

재배적지 - 감나무는 따뜻한 지방의 양지에서 잘 자라며 추위와 대기오염에 비교적 강한 편이다. 떫은 감은 단감에 비해 추위에 강하며 기온이 낮은 곳에서는동해피해를 입거나 착화상태가 불량해지기도 한다. 토양에 대한 적응범위가 넓어서 심한 모래땅이 아니면 어느 토양에서나 잘 자라지만 토심이 깊고, 배수와 보수력이 좋은 비옥한 사질양토 지역이 적지이다. 토양습도는 30~40%인 지역에서 생육이 왕성하며 생육기간동안 수분함량 변화가 적은 곳이 발육과 과실생산에 유리하다.

 

 

단풍나무

재배적지 - 음양수이므로 양지나 반그늘 진 곳이 적당하며 토질은 표토가 깊고 배수가 잘 되면서도 보수력이 있어 습하면서 부식질이 풍부한 비옥한 양토가 좋다. 가을 단풍을 아름답게 즐기기 위해서는 수광량(受光量)이 좋고, 공기 중의 습도가 높고 밤낮의 온도 차이가 심한 곳이 좋으므로 이에 알맞은 적절한 심기와 관리가 필요하다.

 

시비관리 - 시비는 봄에서 여름까지 그리고 겨울에 하되 단풍들 때는 시비를 피한다.
비료로는 질소질 비료를 과용하지 않도록 해야 잎이 붉고 고와지므로 인산과 칼륨을 많이 시비한다. 묘목의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생장상태에 따라 시비하되 7월 상순까지는 시비를 완료한다.

 

 

대추나무

재배적지 - 대추나무는 연평균기온 8℃ 이상, 최저기온 -27℃ 이상인 곳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며 척박지에서도 비교적 잘 자라므로 산지에서 재배하기 적합한 수종으로서 토심이 깊고 배수가 잘되며 통기성이 좋은 사질양토 또는 자갈이 섞인 양토가 적지이다.

 

시비관리 - 식재는 늦은 가을과 봄에 땅이 얼기 전 또는 해빙과 동시에 실시하며 시비는 구덩이 당 완숙퇴비 6㎏, 석회 2㎏, 붕사 20g을 흙과 혼합하여 넣고 그 위에 30㎝ 정도 흙을 덮은 후 묘목을 곧게 세운다. 건실한 열매를 얻기 위해서는 계분이나 뼈가루 등을 11~12월경 시비하는 것이 좋다.

 

 

맥문동

재배적지 - 맥문동은 기후, 토질에 상관없이 잘 자라지만 음지나 습지 또는 나무그늘 밑을 선호한다. 그러나 이러한 곳에서는 지상부만 무성하고 약용부위의 괴근이 많이 생기지 않으므로 괴근의 수확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따뜻한 지방이 좋으며 재배시에는 양지에서 순화재배 할 필요가 있다. 토질은 사질양토나 부식질양토로 배수가 좋은 지역이 적지이며 배수가 나쁘거나 양토로서 너무 비옥한 땅에서는 괴근이 썩고 수확량도 매우 적다.

 

시비관리 - 맥문동은 다비성 작물로서 초기에 비료를 주고, 생장기간에도 추가 시비를 하여야 만이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10a당 계분 200㎏, 깻묵 200㎏, 칼륨(초목회) 560㎏을 시비할 때 생장이 좋다.

 

 

 

마가목

재배적지 - 마가목은 여름이 시원한 고랭지 및 산지, 평지는 반음지가 적당하며 햇빛이 좋고 배수가 좋은 비옥한 토양에 심는 것이 적당하다 햇빛이 좋지 않으면 아름답게 단풍이 물들지 않으며 토질을 가리지 않는 수종이지만, 점토질 보다는 자갈이 섞여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와 습기 있는 토양이 적지라 하겠다. 고산성 수종으로 저지대에서는 적응이 불량한 편이다.

 

시비관리 - 시비는 복합비료로 본당 50g 정도씩 주고 매년 20%씩 증량시비 하며 2월경에 한비로서 깻묵이나 부엽토를 나무 주변에 구덩이를 파고 주면 효과적이다.

 

 

무궁화

재배적지 - 무궁화는 양수로서 내서성, 내한성이 크고 토양에 대한 적응력이 좋기 때문에 이식도 용이하고 성장이 빠르며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깊은 심산을 제외한 전국에 식재되어 있으나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양토가 최적의 적지라 할 수 있다.

 

시비관리 - 무궁화는 메마른 땅에도 강하지만 시비관리를 하면 보다 많은 꽃을 피울수 있다. 시비는 꽃이 피기 전인 6월 무렵과 꽃이 지고 난 10월 무렵에 깻묵이나 계분, 화학비료를 주면 좋다. 무궁화는 흡비력이 높기 때문에 생장의 상태를 보면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묘목의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생장상태에 따라 실시하되 7월 상순까지 완료한다.

 

 

배롱나무

재배적지 - 원산지는 중국 남부 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에 분포하고 있으며 해가 잘 들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이 좋다. 또한 토성을 가리지 않지만 부식질이 많은 비옥 적윤한 사질양토가 적지라 할 수 있으며 양지를 좋아하는 성질이 있다.

 

시비관리 - 바람이 잘 통하지 않거나 비료가 부족하면 배롱나무는 쇠약해져 꽃이 잘피지 않으며 겨울에 우마분, 계분, 퇴비 등을 포기 주위에 덮어 주어 영양을 공급한다. 묘목시비의 경우 파종상은 1~2회 솎음 작업 후 시비를 실시하고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묘목의 생장 상태에 따라 시비한다.

 

 

 

벚나무

재배적지 - 우리나라에서는 수직적으로 표고 100~1,560m, 수평적으로 전남, 전북(덕유산), 경남, 경북, 충북(죽령), 평북에 야생하고 있으며 건조를 꺼리는 수종으로 해가 잘 들고 보수력이 좋은 비옥한 양토가 적지라 할 수 있다. 때문에 주택지 등에 새로 조성되는 장소는 건조가 심하고, 도심지나 시가지 같은 공기가 오염된 곳이나 잎에 먼지가 많이 끼는 곳은 재배지로 적합하지 않다.

 

시비관리 - 벚나무의 식재 시기는 나무의 눈이 트기 전인 이른 봄 3월 중순부터 4월 중순에 실시하며 ha당 3,000본을 기본으로 한다. 묘목의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묘목 생장상태를 고려하여 실시하되 7월 상순까지 시비를 완료한다.

 

 

복자기

재배적지 - 중부 이북 깊은 산의 표고 100~1,300m에 주로 자생하며, 적윤지의 계곡부를 좋아한다. 적습의 사질양토와 음지에서 잘 자라고 pH 5.5~6.5 범위에서도 잘 자라며 추위에 강하고 건조한 토양에서도 잘 적응하는 특징이 있다.

 

시비관리 - 묘목의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묘목의 생장상태에 따라 시비한다.

 

 

산딸나무

재배적지 -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중부 이남의 산야에서 자생하며 수직적으로는 제주도 한라산의 표고 1,800m 지점까지 자라며 대부분은 표고 300~500m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토양은 토심이 깊고 토양이 비옥적윤한 사질양토가 적지이며 토양pH는 6.5~8.0 범위에 속하는 곳이 좋다.

 

시비관리 - 속효성 비료는 상만들기 직전에 주고, 추비의 시기는 파종상은 1, 2차 솎아주기 후, 이식상은 완전히 활착된 후 비료를 주는 것이 좋으며, 묘목의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시비하는 것이 좋다.

 

 

산사나무

재배적지 - 주로 산지에서 잘 자라며 자갈 섞인 밭 또는 개간지에서도 생육이 좋은편이며 토질에 대한 요구도는 낮지만 사양토로서 토심이 깊고 비옥한 양지가 적합하다. 특히, 사양토에 심어야만 가을철 열매의 착색이 좋다.

 

시비관리 - 식재 시에는 구덩이를 깊게 파고 퇴비나 유기질 비료를 같이 넣어주고 식재 후에는 질소질 비료보다는 인산질 비료를 많이 주는 것이 좋으며 늦여름 깻묵, 퇴비, 계분 등을 시비하면 꽃이 많이 피고 열매 결실이 좋아진다.

 


산수국

재배적지 - 산수국은 천근성이며 직사광선을 싫어하므로 반 그늘진 곳이 좋으며 그늘이 심한 곳에서는 나무가 연약하게 자라서 꽃이 잘 피지 않는다. 토질은 배수가 잘 되고 습기가 많은 약산성인 양토가 좋고 분화초로 심을 때는 다소점질인 편이 키가 헛자라지 않아 좋으며 알칼리성보다 pH 5.5 정도의 산성인 편이 생육에 좋다.

 

시비관리 - 식재시기는 중부지방은 3~4월 중순이고 남부지방은 2월 하순에 심는 것이 좋다. 시비처리 시 파종상은 1~2회 솎음 작업 후 시비하고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묘목의 생장상태를 고려하여 시비한다.

 

 

산수유

재배적지 - 산수유는 서북풍이 막힌 양지 바른 곳의 비옥한 산간계곡, 산록부, 논둑, 밭둑의 공한지 등에서 생장이 양호하며 토심이 깊고 비옥 적윤한 사질양토로 배수가 양호한 곳이 적지이다.

 

시비관리 - 식재를 할 때에는 넓이 60㎝, 깊이 60㎝의 크기로 구덩이를 파고, 구덩이당 퇴비 4~10㎏, 복합비료 50g씩을 흙과 섞어 뿌리에 비료가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하여 식재한다. 묘목 시비의 경우에는 6월 중순 이전에 본당 복합비료 50g씩(고형복합비료 60g)을 나무 주위에 환상(環狀)으로 주고 생장함에 따라 연차적으로 양을 늘리는 것이 좋다.

 

 

산철쭉

재배적지 - 산철쭉은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의 표고 1,600m이하에 분포하고 있다. 양지나 음지를 가리지 않고 잘 자라며 토질도 비교적 가리지 않지만 부식질이 많고 습기가 많은 곳에서 무성하게 자라며 습한 물가나 계곡이 적지라 하겠다.

 

시비관리 -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묘목의 생장상태에 따라 시비한다.

 

 

쉬나무

재배적지 - 척박지, 해변가, 건조지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지만 광선과 수분이 풍부하고 토심이 깊고 경사가 완만한 산록부 및 완경사지의 사질양토 및 식양토에서 생육이 좋다.

 

시비관리 - 시비는 6월 중순 이전에 본당 복합비료 50g씩(고형복합비료 60g)을 나무주위에 주고 생장함에 따라 연차적으로 양을 늘린다.

 

 

은행나무

재배적지 -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수직적으로 표고 500m 이하에 분포하고 있으며 토심이 깊고 비옥적윤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시비관리 - 은행나무의 식재는 가을에 잎이 떨어지고 난 뒤부터 봄 싹이 트기 전 까지 가능하며 특히 가을에 심는 것이 좋다. 묘목의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 시비하며 7월 상순까지 완료한다.

 

 

이팝나무

재배적지 - 골짜기나 개울 근처 및 해변가에서 잘 자라며 토심이 깊고 습한 사질양토이며 pH가 5.0~6.0인 곳이 적지이다

 

시비관리 - 묘목의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묘목 생장상태에 따라 시비하며 7월 상순까지는 시비를 완료한다.

 

 

자귀나무

 재배적지 - 해가 잘 드는 양지가 좋으며 수관이 넓게 퍼지므로 옆의 수목과 거리를 많이 뗄 수 있는 곳이 적당하다.

 

시비관리 - 식재 시기는 중부지방은 3~4월 중순, 남부지방은 2월 하순이 적당하며 ha당 3,000본을 기본으로 한다. 파종상은 1~2회 솎음 작업 후 시비하는 것이 좋으며, 묘목의 시비는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시비한다.

 

 

조팝나무

재배적지 - 햇빛이 잘드는 양지가 적당하며, 토질은 별로 가리지 않으나 보수력이 있고 비옥한 사질양토가 이상적이다.

 

시비관리 - 묘목의 잡초는 어릴 때 지속적으로 완전히 제거해 주는 것이 좋으며, 시비 시파종상은 1~2회 솎음 작업 후 시비하고, 묘목의 시비량은 ㎡당 요소 30g,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묘목의 생장상태를 고려하여 실시하되 7월 상순까지 시비를 완료한다.

 

주목

 재배적지 - 주목은 공중습도가 높고 토심이 깊은 비옥 적윤한 토양이 적합하고 높은 산에서 잘 자라는 식물이므로 도시에서는 여름의 고온 건조한 양지보다는 적습비옥한 반음지가 적합하다. 노지에서 월동하며 남부지방에서는 정원수로 적합하지 않다.

 

시비관리 -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묘목의 생장상태에 따라 시비하되 7월 상순까지는 시비를 완료한다.

 

 

 

칠엽수

재배적지 - 칠엽수는 도시 공해에 약하기 때문에 먼지가 많은 곳에서는 잎이 쇠약해져 일찍 낙엽이 지는 특징이 있으며, 표토가 깊고 습기가 있는 비옥한 양토가 적지이다. 또한, 너무 건조한 곳에서는 생육이 나쁠 뿐만 아니라 껍질이 찢어져서 미관을 손상시키며 굳은 땅은 표토를 부드럽게 갈아엎어서 덮어주는 것이 좋다.

 

시비관리 - 시비관리는 매년 여름에는 건조하지 않도록 지표에 짚을 깔아 덮어주고 겨울에는 잘 썩은 퇴비나 우마분을 지표에 덮어주는 처리가 필요하며 묘목의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시비한다.

 

 

팔손이

재배적지 - 난대지역 해안가의 상록수림 수하에 군생하는 극음수로 그늘진 곳을 좋아하고 적당한 보습성을 지닌 비옥한 사질양토가 적지이며 조풍과 염해에 강한 특성이 있다.

 

시비관리 - 식재시기는 나무의 눈이 트기 전인 이른 봄 3월 중순부터 4월 중순이 적당하며, 파종상은 1~2회 솎음 작업 후 시비하는 것이 좋다. 묘목의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묘목 생장 상태에 따라 시비하되 7월 상순까지는 시비를 완료한다.

 

 

 

팥배나무

재배적지 - 토질은 특별히 가리지 않고 아무 곳에서나 잘 자라며 특히 산 능선부의 건조지에서 잘 생육하고 척악지와 사방지에서도 잘 자라는 특징이 있다.

 

시비관리 - 묘목의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으로 묘목 생육상태에 의거 시비하되 7월 상순까지는 시비를 완료하는 것이 좋다.

 

 

 

향나무

재배적지 -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라지만 가급적이면 배수가 잘 되고 부식질이 많은 비옥한 양토나 사질양토 지역이 적지라 할 수 있다.

 

시비관리 - 식재는 나무의 눈이 트기 전인 이른 봄 3월 중순부터 4월 중순이 적기이며, 파종상은 1~2회 솎음 작업 후 시비하고,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묘목 생육상태를 고려하여 시비한다.

 

 

회양목

재배적지 - 해가 잘 드는 양지바른 곳이 좋지만 다소 그늘진 곳에도 잘 자라며 토질은 석회암질 같은 알칼리성 토양이 적지이며 습한 곳은 적합하지 않다.

 

시비관리 - 묘목의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묘목 생장상태에 의거 시비하되 7월 상순까지는 시비를 완료한다.

 

 

후박나무

재배적지 - 후박나무는 난대수종으로 내한성이 약하므로 식재 및 재배는 남부지역과 중부 해안지역에서만 가능하며 묘목을 생산하기에는 양지바르고 습기가 있는 비옥한 땅이 적지이다.

 

시비관리 - 묘목의 시비량은 ㎡당 요소 30g, 용과린 70g, 염화가리 15g을 묘목 생장상태에 의거 시비하되 7월 상순까지는 시비를 완료한다.


 

출처: 국립산림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