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초 재배법 12 4) 식재후의 관리 식재가 끝나면 분 배수구로 깨끗한 물이 흘러내릴때까지 흠뻑 물을 주고 5~6일간 반음지에 착근할 때까지 보호한다. 잎이 마르는 것을 막고 공중습도를 높이기 위해 분무기로 잎에 물을 자주 뿌려주는 것이 좋다. 5) 분갈이 분에 심은 야생초는 대부분 1년에 한번씩 분갈.. 카테고리 없음 2013.04.19
야생초 재배법 11 3) 식재의 실제. a. 표준적인 식재법 * 고온다습한 지역에서는 화분 밑의 통기가 잘 되면 화분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 표면의 굵은 알갱이 : 화장용 겸 뿌리의 통기를 돕는다 b. 습지성 야생초의 식재법 * 시배때 이끼가 더러워지거나 썩는 것을 막는다. c. 건지성 야생초의 식.. 카테고리 없음 2013.04.19
야생초 재배법 10 식재의 요령 a> 화분은 작고 얇은 것이 좋다. 뿌리나 줄기의 크기에 비해 조금 작은 분에 심으면 뿌리의 온도가 빨리 높아져서 발육상태가 좋아진다. b> 화분의 배수구는 방충망으로 막는다. 모래가 흘러 나가거나 해충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망(그물)을 사용한다. c> 배수가 잘 되게 .. 카테고리 없음 2013.04.19
야생초 재배법 9 2. 식재(植栽) 방법 식물과 용토,화분이 준비되면 식재에 들어가게 되는데 야생초가 잘 자라게 식재하는 요령은 배수(排水)와 통기(通氣)가 잘 되게 심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마사토의 알갱이 크기에 관계없이 모두 체로 치거나 물로 흙가루를 제거한 용토를 사용하고 종묘의 뿌리에 .. 카테고리 없음 2013.04.19
야생초 재배법 8 4. 자생지역에 따른 야생초의 분류 일반적인 야생초들을 자생 지역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산에서 자라는 야생초류 (고산식물 포함) 처녀치마, 초롱꽃, 각시둥글레, 고사리삼, 골무꽃, 구슬사리, 구절초, 기린초, 꽃바위창포, 애기원추리, 나도개별꽃, 나리난초, 노루귀, 노.. 카테고리 없음 2013.04.19
야생초 재배법 7 4. 배합의 요령 1) 식물의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르게 배합해야 하나 우선 보수성, 배수성이 적당한 용토를 기본으로 한 배합토를 만든다. (1) 기본 용토 ... 마사토, 경질 녹소토, 경질 적옥토 등 (2) 보수성 위주의 용토 ... 마사토, 경질 녹소토, 경질 적옥토, 찐 이끼 (3) 배수성 위주의 용토 ... .. 카테고리 없음 2013.04.19
야생초 재배법 6 3. 용토의 배합 한 종류만으로는 야생초의 요구 조건을 맞출 수 없으므로 몇가지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용토의 크기와 처리 (1) 용토는 크기에 따라 大,中,小로 나누어 체로 쳐서 흙가루를 제거한다. (2) 체의 눈금 크기 小 : 1.5mm 中 : 5.0mm 大 : 9.0mm (3) 용토는 햇빛에 말린 다음 1.5mm.. 카테고리 없음 2013.04.19
야생초 재배법 5 야생초 재배용 용토 용토는 보수성, 배수성, 통기성이 적당히 조절이 되어야 한다. 1. 용토의 요건 1) 보수성(保守性) ... 수분이 분속에 머무는 정도 (아침의 물이 저녁때 말라야 알맞다) 2) 배수성(排水性) ... 분속의 수분을 분 밖으로 물리치는 정도 3) 통기성(通氣性) ... 용토 사이로 새로.. 카테고리 없음 2013.04.19
야생초 재배법 4 이. 식재법 1. 식재용토 산이나 들에서 채집해 온 야생초는 채집 당시 뿌리에 붙어 있는 흙을 깨끗이 물에 씻은 후에 상처 난 뿌리와 지상부를 제거하고 얕게 심는 것이 비결이 된다. 야생초는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용토도 식물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 카테고리 없음 2013.04.19
야생초 재배법 3 3. 야생초의 선택조건 우리나라는 반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2,000여종이 넘는 야생초들이 자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많은 야생초들의 모두가 재배와 감상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아름다운 운치를 감상한다는 입장에서 볼 때 그 전체적인 외모와 꽃의 생김새가 .. 카테고리 없음 2013.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