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희망을 주는 동기부여

인간의도리인오대덕목(五大德目)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지키자.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한글 사랑은 애국입니다

조경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

좋은글 3288

아이 스스로 하도록 돕는 자녀 교육법

아이 스스로 하도록 돕는 자녀 교육법 세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말이 있듯이 열살 전후에 들인 공부 습관은 대학 입시까지 이어진다. 일본 시골 마을의 초등학교를 전국 학력테스트에서 10년 연속 1위를 차지하게 만든 가게야마 히데오 선생으로부터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로 만드는 방법을 배워보자. 일본 시골 초등학교의 교사인 가게야마 히데오 선생은 아이들의 어린 시절을 희생하고 몸과 마음의 건강까지 해치는 공부는 잘못된 것이라고 말한다. 부모가 만들어주는 건강한 생활환경과 기초적인 공부습관, 집중력만 있으면 밤늦게까지 공부하지 않아도 명문대학에 합격할 수 있다는 것을 그의 제자들을 통해 확인했기 때문이다. 다음에 나오는 방법 중 5~6가지만 꾸준하게 실천하다 보면 아이가 달라지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카테고리 없음 2016.08.12

할머니 손이 약손인 이유

할머니 손이 약손인 이유 할머니 손이 약손인 이유는 손주를 사랑하는 마음이 깊어서입니다. 실제로 사랑하는 사람과 손을 잡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와 통증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사랑이 약입니다. 사랑이 약손을 만들고, 사랑이 자연치유력을 높입니다. 아픈 사람을 안쓰러워하는 마음, 어서 낫기를 바라는 마음, 더 건강해지기를 기원하는 마음이 간절할 때 손에 치유의 힘이 실립니다. 내 손으로 나를 힐링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내 몸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으로 정성껏 누르고, 두드리고, 쓸어주면 그 사랑의 에너지에 몸이 반응합니다. 몸은 자연이기 때문입니다. 자연의 에너지가 응집되어 자연의 이치대로 순환하고 소통하는 생명체입니다. 《내 몸과 마음을 살리는 5분 배꼽힐링》 中

카테고리 없음 2016.08.12

비누를 먹는 사람

비누를 먹는 사람 때는 조선 말. 당대를 주름잡던 민씨 집안에 처음으로 비누가 들어왔습니다. 민씨 집안의 초청을 받고 온 많은 대감들은 처음 보는 이 신기한 물건에 온 관심을 집중하였습니다. 손을 씻어보고, 세수하며 감탄을 연발하고 온갖 아첨을 떨었습니다. 그때, 그 자리에 있던 한 사람이 갑자기 비누를 씹어 먹기 시작했습니다. 대감들은 비누를 먹는 사람이 어디 있냐며 수군댔습니다. 그러자 그 사람은 매우 진중한 얼굴로 대답했습니다. "당신들은 얼굴에 있는 때를 씻어내려고 하는 것이지만 나는 배 속에 있는 때를 씻어내려고 비누를 먹고 있소이다. 무엇이 잘못됐소?" 그러자 갑자기 찬물을 끼얹듯 좌중이 조용해졌습니다. 바로 이분이 독립운동가 월남 이상재 선생입니다. 겉모습을 가꾸고 체면을 다듬는 사람은 많아..

카테고리 없음 2016.08.12

나만의 꿈을 만들어라

인위쩐이라는 여성과 그녀의 남편 바이완샹이 중국 네이멍구에 있는 마오우쑤 사막 징베이탕이라는 곳에 1985년부터 나무를 심어 가꿨는데 이제 숲이 되어버렸다고 합니다. 그 숲은 약 46km2(약 1,400만 평)으로 여의도의 약 12배 정도되는 면적입니다. 처음부터 사막에 숲을 만들겠노라고 시작한 일이 결국 자연환경을 바꾸는 위대한 일이 된 것입니다. 우리는 자신의 꿈을 향해 남들이 간 길을 그대로 가기도 하고, 나만의 길을 만들어 가기도 합니다. 인위쩐은 꿈 자체를 만들어 냈습니다. 사막에서 숲을 찾지 않고 자기가 숲을 만든 것입니다. 자기가 처한 환경을 탓하지 않고 자기가 원하는 환경을 만든 것이지요. 1979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마더 데레사의 말씀이 생각납니다. “ 우리는 위대한 일을 하지 못합니..

카테고리 없음 2016.08.12

대화의법칙 7가지

✪ 대화의법칙 7가지 01. 근사한 자기소개 문장을 만들어 둔다. 02. 먼저 말문을 연다. 03. 장점부터 말한다. 04. 승자처럼 말한다. 05. 맺고 끊음을 분명히 한다. 06. 사소한 말에 정성을 기울인다. 07. 끼어들 때와 침묵할 때를 구분한다. ✪ 절대하면 안되는 7 가지 08. 분위기를 망치지 않는다. 09. 자기 자신을 비하하지 않는다. 10. 조급함을 드러내지 않는다. 11. 자기만의 원칙을 타인에게 강요하지 않는다. 12. 테스트하는 말을 삼간다. 13. 공감 표시를 생략하지 않는다. 14. 알고 있는 것과 안다고 생각하는 것을 혼동하지 않는다. 《말할 때마다 행운을 부르는 대화법》에서 출처 : 감성공간[http://storyhong.tistory.com/235]

카테고리 없음 2016.08.12

우리 집 청소대장

우리 집 청소대장 저에게는 개구쟁이 둘째 아들이 있습니다. 어릴 적부터 어찌나 요란스럽고 짓궂던지 칭찬해 줄 만한 것이 별로 없었습니다. 어느 날 화장실에서 샤워 후 청소를 말끔히 해놓고 나와 기특한 마음에 칭찬해 주었습니다. 그 날 이후로 제 아들의 장래 희망은 '청소대장'이 되었습니다. 학부모 학급 모임이 있던 날, 아이들 사물함마다 저마다 장래희망이 붙어있었습니다. 선생님, 의사, 소방관 그런 장래희망 사이에 저희 아들이 써 놓은 '청소대장'이 떡 하니 적혀있었습니다. 엄마들 웃을 때 저도 한술 더 떠 귀엽다며 손뼉 치며 따라 웃었습니다. 웃다 보니 제 아들도 같이 웃고 있었습니다. 그 후부터 아들의 철없는 장래희망은 답답함이 돼버렸습니다. 며칠 후 우연히 영어로 쓰는 일기장을 보게 됐는데 영어 공..

카테고리 없음 2016.08.12

몸이 보내는 메시지를 해독하는 감각

몸이 보내는 메시지를 해독하는 감각 어느 날 묵묵하게 일하던 몸이 말을 할 때가 있습니다. 몸이 메시지를 보낼 때 우리는 무조건 귀를 쫑긋 세우고 귀를 기울여야 하는데, 대개 우리는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몸이 말을 걸어오는 순간을 알지 못하고 무심히 지나치고 맙니다. 몸의 말을 알아듣는 연습이 되어 있지 않아서입니다. 문제는 우리가 몸이 보내는 메시지를 연거푸 놓치면 몸에 질병과 같은 심각한 상황이 벌어진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기 전에 몸의 메시지를 해독하는 감각을 키워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뇌에 몸의 소리를 들으라는 지시를 스스로 내려야 합니다. 《면역력이 답이다》 中

카테고리 없음 2016.08.11

상대와 가까워지는 법 16가지

상대와 가까워지는 법 16가지 1. 자리에 앉을 때는 상대방의 대각선 방향이 좋다. 2. 상대방의 말을 중간에 끊지 말고 다 끝날 때까지 귀를 기울인다. 3. 상대방을 정면으로 마주 보고 때때로 눈을 마주친다. 4. 상대방이 말하는 내용을 예측해서 결론을 앞질러 말하지 않는다. 5. 목소리의 어조 변화, 표정, 제스처 등 언어로 표현되지 않는 정보를 읽는다. 6. 무슨 일이 있어도 상대방의 말을 부정하지 않는다. 7. 상대방이 이야기하는 중에 내가 다음에 할 말을 생각하지 않는다. 8. 적절한 빈도로 고개를 끄덕인다. 9. 얼굴 전체로 미소 짓는다. 10. 긍정적인 호응을 보인다('예'라는 말만 반복하는 것은 좋지 않다). 11. 몸을 약간 앞으로 내민다. 12. 팔이나 다리를 꼬지 않는다. 13. 이야..

카테고리 없음 2016.08.11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가 변화해야 할 생각 7가지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가 변화해야 할 생각 7가지 1. 자녀의 실패는 내 인생의 실패요 자녀의 성공은 곧 내 인생의 성공이다. 자녀는 나의 작품이 아니라 신의 작품이요 선물이다. 자녀 인생의 주인은 부모가 아니다. 소유권을 이전 등기하라. 그리고 감정적인 탯줄을 끊는다. 2. 자녀는 내 뜻에 순종하기만 하면 된다. 청소년기는 가족 정체성을 개인의 정체성으로 바꾸어 가는 시기이다. 자신이 입을 옷과 친구들, 음식과 취미, 그리고 머리모양을 스스로 선택하는 것은 "이것이 나다"라고 말하는 방법이다. 부모의 꼭두각시가 아닌 독립된 개체로서의 떠남을 허락하라. 자녀의 방식이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임을 인정하라. 크고 작은 일에 의견을 묻고 독립적인 사고를 격려한다. 3. 다 자랐으면서 어린아이 같이 행동을 ..

카테고리 없음 2016.08.11

포기하지 않으면 반드시 기회는 온다

포기하지 않으면 반드시 기회는 온다 어릴 때 소아마비를 앓기도 했고, 천식 때문에 숨 쉬는 것조차 힘들어했던 한 소년이 있었습니다. 가족은 소년이 열 살을 넘기기 힘들 거로 생각했습니다. 그런 소년에게 열한 번째 생일이 찾아왔습니다. 온 가족의 축하 속에 소년이 케이크의 촛불을 힘껏 불었습니다. 그러나 단 한 개의 촛불만 꺼졌습니다. 소년은 실망하며 결국 울고 말았습니다. 소년을 도와 촛불을 끈 아버지는 물었습니다. "촛불을 끄며 무슨 소원을 빌었니?" 소년은 울먹이며 대답했습니다. "내년 생일에는 저 혼자의 힘으로 열두 개 촛불을 모두 끌 수 있게 해 달라고요. 제 몸은 왜 이렇게 약하고 불편할까요?" 아버지는 소년을 꼭 안아주며 말했습니다. "네가 가진 불편함은 단순한 장애가 아니고, 하나님께서 주신..

카테고리 없음 2016.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