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도의 조직 화랑도의 성원들은 낭적(郎籍)에 이름을 올렸다. 『화랑세기』에 나오는 4세 풍월주 이화랑 조에는 이화랑의 부제(副弟) 토함은 일찍이 낭적에 속하였던 것으로 나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낭적은 구체적인 이름이 있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그것이 황권(黃卷) 또는 풍류황권(風流.. 카테고리 없음 2013.12.24
풍월주의 임명과 세기 『화랑세기』를 보면 풍월주와 부제를 임명한 세력들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한 이해는 화랑도의 성격을 밝히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한 세력은 시간이 지나며 변동된 것도 보인다. 1세 풍월주 위화랑은 진흥왕이 즉위한 540년에 지소태후가 원화를 폐지하고 임명하였다. 2세 풍.. 카테고리 없음 2013.12.24
화필봉(畵筆峰) 조선시대 사대부 집안에서 가장 선호했던 산봉우리가 있다. 바로 문필봉(文筆峰)이다. 봉우리의 모양이 붓의 끝처럼 뾰쪽하게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삼각형 모양이라고 보면 된다. 이 문필봉이 집 앞에서 보이거나 묏자리 앞에서 보이면 후손 중에 문장가나 큰 학자가 나온다.. 카테고리 없음 2013.12.20
석굴(석굴암)에 대한 조선과 일본의 대응 석굴암은 18C 중엽 조선의 지도 경주부에 '석굴'로 기록되어 있다.(조선 화가 정선은 '골국석굴'이라고 적었다.) 현대사에는 1909년에 석굴이 처음 발견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일본의 시각일 뿐이다. 석굴암은 숙종 29년(1703- 종열), 영조 34년(1758-대겸)에 수리되었고, 말엽에도 울산병사 .. 카테고리 없음 2013.12.19
고려의 군사제도, 2군(二軍)6위(六衛)와 지방군 편제 1. 중앙군 2군 6위 편성시기 현재까지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서로가 추측하여 태조, 성종, 목종, 현종 시기 중 하나로만 추측 하고 있을 뿐이다. 대부분 성종 시대에 6위가 형성됐다는 추측을 대세로 받아 들이고 있다. 2군은 현종 시대에 성립됐다는 것에는 일치하고 있다. 결론.. 카테고리 없음 2013.12.19
고려의 황도 개성 - 고려의 궁궐 (고려 황궁에 대한 문자 기록은 많이 분포되어 있기에 간략하게 정리했으며, 대신에 시각자료 첨부를 통해 더 빠른 이해를 돕도록 했다.) <관경변상서품도- 왕궁만다라 1312년, 일본 돈하시 서복사> 고려궁궐의 특징은 건물 수는 적지만 웅장하고 화려함에 있다. 궁궐이 들어 선 지형이.. 카테고리 없음 2013.12.19
고려의 황도 개성 - 성곽 <광여도 개성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황도 개성 【건치연혁】 신라시대(통일기)의 송악군(松岳郡)은 원래 고구려의 부소압(扶蘇岬)이며, 개성군(開城郡)은 원래 고구려의 동비홀(冬比忽)이었다. 고구려에서는 군현(郡縣)을 홀(忽)이라 많이 불렀다. 고려 태조 2년(919)에 철원(.. 카테고리 없음 2013.12.19
고려시대에 쓰이던 순수 우리말 계림유사에 소개 된 고려의 말 - 임하필기 제19권 문헌지장편 계림유사의 방언 한날: 하늘 항: 해 설: 달 굴림: 구름 불람: 바람 눈: 눈 비미: 비 천동: 천둥 육교: 무지개 아참: 아침 염재: 점심 때 (점심은 마음에 점을 찍는다는 불교용어다. 즉 낮밥을 안먹는다는 뜻이다.) 점날: 저녁 오날: .. 카테고리 없음 2013.12.19
고려시대 화폐, 고려시대 동전 이야기 "화폐의 제도는 국가를 위해 우선적으로 해야 할 바이니 대개 국용을 풍담하게 하여 민력을 유복하게 하기 때문이다. 성종15년 4월(996년)에 비로소 철전을 사용하였다" - 고려사 식화지(食貨志) 통설에 따르면 성종은 의천과 윤관의 주청에 의해 주전제를 실시했다고 한다. 고려시대에 발.. 카테고리 없음 2013.12.19
명성황후 뒤로 숨은 추악한 민비 <민비로 추정된다는 또 하나의 사진. 엽서사진, 대구> ("민비께서는 황공하오나 그야말로 조선여성으로의 모든 미를 구비하신 미인이셨습니다. 크도 작도 않으신 키, 가느다란 허리, 희고 갸름하신 얼굴, 총명과 자애의 상징인 흑진주 같으신 눈, 옻칠같이 검으시고 구름 같으신 머리,.. 카테고리 없음 2013.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