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희망을 주는 동기부여

인간의도리인오대덕목(五大德目)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지키자.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한글 사랑은 애국입니다

조경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

나라사랑 277

독도연표(1951~2000)

1951 (4284, ) 2월 28일 「대일강화조약 1차 영국초안」 작성됨. 미국측이 7차 미국초안붙터 영토처리를 불분명하게 하자 영국이 독자초안을 작성하기 시작. 영토문제에 대해서는 선을 그어서 일본 근해의 섬들을 일본의 주권하에 포함시키겠다고 하면서 한국방향으로는 울릉도와 제주도를 일본 영토권안에 포함시킴. 이 잘못은 3월 2차 초안에서 바로 수정됨. 3월 23일 「대일강화조약 제9차 미국초안」 작성됨. 일본 영토 조항을 설정하지 않고 제3장의 영토조항 제3항에 일본은 한국에 관한 모든 권리, 권원, 청구권을 포기한다고만 명시하고 구체적인 섬의 명칭들은 언급하지 않음. 3월 「대일강화조약 2차 영국초안」 작성됨. 한국과 관련해서 제1항에서 제주도와 福江島 사이, 한반도와 對馬島 사이, 獨島(Takes..

카테고리 없음 2013.02.10

독도연표 (1901~1950)

1900 (4233, 庚子) 대한제국 광무 4 5월 31일 울릉도시찰위원 우용정과 부산 주재 일본영사관보 적총정보(釜山駐在日本領事館補 赤塚正補) 등 한․일 양국의 조사단이 울릉도에 도착하여, 6월 5일까지 일본인의 비행과 재목 도벌 및 세금징수 여부에 대해 조사하고, 島內의 實情과 島勢를 파악함. 6월 15일 우용정이 돌아와 보고서를 제출하고, 일본인의 조속한 철수와 울릉도 官制의 개편을 건의함. 10월 27일 칙령 제 41호(10월 25일)를 반포하여 울릉도(鬱陵島)를 울도(鬱島)로 개칭하고, 도감(島監)을 군수(郡守)로 바꾸므로써, 강원도의 27번째 郡으로 지방관제(地方官制)에 편입됨. 칙령에 의하면 군청의 위치는 태하동(台霞洞)으로 하고, 울도군수(鬱島郡守)의 관할구역은 鬱陵全島와 竹島(댓섬), 石..

카테고리 없음 2013.02.10

독도연표 (1800년대)

1848 (4181, 戊申) 조선 헌종 14 4월 17일 미국 포경선 체러키(Cheroke)호가 독도를 발견함(북위 37도 25분, 동경 132도 00분). 포경선 체러키호 항해일지 1849 (4182, 己酉) 조선 헌종 15 1월 27일 프랑스 포경선 리앙꼬르(Liancourt)호가 독도를 발견(북위 37도 2분, 동경 131도 46분)하여 Liancourt Rocks으로 명명함. 이 사실이 프랑스 해군 수로지와 海圖에 실림으로써 서양에 알려지게 됨. 3월 18일 미국 포경선 윌리암 톰슨(William Thompson)호가 독도를 발견(북위 37도 19분, 동경 133도 9분), “세개의 바위(3 rocks)를 보았다”고 기록함. 이는 조선 성종조의 삼봉도(三峯島)를 상기시키는 대목임. 포경선 윌리암 ..

카테고리 없음 2013.02.10

독도연표 (1700년대)

1702 (4035, 壬午) 조선 숙종 28 5월 삼척영장(三陟營將) 이준명(李浚明)이 울릉도(鬱陵島)를 수토하고 지도와 토산물을 바침. 肅宗實錄 권36. 1705 (4038, 乙酉) 조선 숙종 31 6월 울릉도(鬱陵島) 수토 후 돌아오는 길에 平海 등의 軍官 黃仁建 등 16명이 익사한데 대해 恤典을 거행함. 肅宗實錄 권42. 1708 (4041, 戊子) 조선 숙종 34 2월 부사직(副司直) 김만채(金萬埰)가 울릉도(鬱陵島)에 진(鎭)을 설치하자고 상소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음. 肅宗實錄 권46. 1717 (4050, 丁酉) 조선 숙종 43 3월 강원도 관찰사 이만견(李晩堅)이 흉년을 이유로 당해의 울릉도(鬱陵島) 搜討를 정지하자는 장계를 올려 받아들임. 肅宗實錄 권59. 1726 (4059, 丙午) ..

카테고리 없음 2013.02.10

독도연표 (1600년대)

1614 (3947, 甲寅) 조선 광해군 6 6월 對馬島主가 울릉도를 의죽도(礒竹島)라 칭하며 섬의 지형을 살피고자 하니 길을 안내해 달라고 청하였기에 이를 거부함. 9월 대마도주가 울릉도(鬱陵島) 거주를 청하니 다시 불가함을 알림. 光海君日記 권82, 邊例集要 권17 雜條 附 鬱陵島. 1693 (4026, 癸酉) 조선 숙종 19 안용복(安龍福) 1차 渡日. 3월 동래와 울산의 어부 40여명이 울릉도에서 일본 어부와 충돌했는데, 일본인들이 안용복과 박어둔(朴於屯)을 꾀어 隱岐島로 납치함. 안용복은 隱岐島主에게 자신들을 잡아온 이유를 따지고, 다시 伯耆州 太守를 만나 울릉도는 조선의 영토이므로 일본인의 울릉도 왕래를 금해줄 것을 요구함. 백기주 태수는 막부에 보고하고, 이를 준수하겠다는 書契를 안용복에게 ..

카테고리 없음 2013.02.10

독도연표 (조선 ~ 1500년)

1403 (3736, 癸未) 조선 태종 3 8월 (강릉도)관찰사의 장계를 따라 강릉도 무릉도(江陵道 武陵島) 거주민을 육지로 나오게 함. '太宗實錄' 권6. 1407 (3740, 丁亥) 조선 태종 7 3월 대마도 수호(對馬島守護) 종정무(宗貞茂)가 잡혀간 사람들을 송환하고 토물(土物)을 바치며 무릉도(武陵島)에 옮겨 살기를 청하였으나 거절함. '太宗實錄' 권13. 1416 (3749, 丙申) 조선 태종 16 9월 삼척사람 전만호(三陟人 前萬戶) 김인우(金麟雨)를 무릉 등지의 안무사(武陵等處 安撫使)로 임명하여 거주민을 쇄환하게 함. '太宗實錄' 권32. 1417 (3750, 丁酉) 조선 태종 17 2월 김인우(金麟雨)가 우산도(于山島)에서 토산물과 주민 3명을 데리고 돌아와 섬에는 15호 86명이 거주하..

카테고리 없음 2013.02.10

독도연표 (조선 ~ 1500년)

1403 (3736, 癸未) 조선 태종 3 8월 (강릉도)관찰사의 장계를 따라 강릉도 무릉도(江陵道 武陵島) 거주민을 육지로 나오게 함. '太宗實錄' 권6. 1407 (3740, 丁亥) 조선 태종 7 3월 대마도 수호(對馬島守護) 종정무(宗貞茂)가 잡혀간 사람들을 송환하고 토물(土物)을 바치며 무릉도(武陵島)에 옮겨 살기를 청하였으나 거절함. '太宗實錄' 권13. 1416 (3749, 丙申) 조선 태종 16 9월 삼척사람 전만호(三陟人 前萬戶) 김인우(金麟雨)를 무릉 등지의 안무사(武陵等處 安撫使)로 임명하여 거주민을 쇄환하게 함. '太宗實錄' 권32. 1417 (3750, 丁酉) 조선 태종 17 2월 김인우(金麟雨)가 우산도(于山島)에서 토산물과 주민 3명을 데리고 돌아와 섬에는 15호 86명이 거주하..

카테고리 없음 2013.02.09

독도연표 (신라, 고려)

512 (2845, 壬辰) 신라 지증왕 13 6월 신라 하슬라주(何瑟羅州 : 현재 강릉지역) 군주(軍主) 이사부(異斯夫) 우산국(于山國) 정벌. '삼국사기'에는 우산국은 溟州 正東의 海島로 鬱陵島라 불리기도 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삼국유사'에는 같은 기사에 亏陵島(今作羽陵)라 기록되어 있음. ‘三國史記' 권4 新羅本紀 4 智證麻立干 13年條, 권44 列傳 4 異斯夫傳, '三國遺事' 권 1 紀異 智哲老王條. 930 (3263, 庚寅) 고려 태조 13 8월 우릉도(于陵島)에서 고려에 來朝, 方物을 바쳐옴에 따라 정위(正位)와 정조(正朝)의 관계(官階)를 하사함. '高麗史' 권1 太祖世家 1. 1018 (3351, 戊午) 고려 현종 9 11월 우산국(于山國)이 동북 여진의 침구를 받고 폐농(廢農)하게 되었..

카테고리 없음 2013.02.09

독도, 일본 섬 아니다" 51년 공포 日법령 발견('09.1.3)

독도, 일본 섬 아니다" 51년 공포 日법령 발견 독도를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는 일본이 1951년에 공포한 법령에서 독도를 '일본의 부속 도서'에서 제외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1951년 6월 6일 공포된 '총리 부령(府令) 24호'와 △1951년 2월 13일 공포된 '대장성령(大藏省令) 4호' 등 두 개의 일본 법령을 찾아냈다고 3일 밝혔다. 이번에 새로 발굴된 1951년의 일본 법령 2건은 일본 정부 스스로가 독도를 '일본의 부속 도서'에서 제외했다는 사실을 명백히 드러내는 최초의 자료로서 주목된다. KMI는 최근 이 법령의 내용에 대해 청와대에 서면으로 보고했다. '총리 부령 24호'는 일본이 옛 조선총독부의 소유 재산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과거 식민지였던 섬'과 '현..

카테고리 없음 2013.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