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희망을 주는 동기부여

인간의도리인오대덕목(五大德目)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지키자.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한글 사랑은 애국입니다

조경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

좋은글 3288

세상에서 가장 안락한 손수레 자가용

세상에서 가장 안락한 손수레 자가용 서울 변두리에 가난한 부부가 살았습니다"당신, 오늘.. 알죠?"이른 아침, 아내의 머리 위에옥수수가 담긴 함지를 올려 주며 남편이 대답했습니다. "으차! 알았어. 일찍 끝낼 테니 걱정 말라고" 남편은 시장통에서 손수레로 물건을 실어나르 는 짐꾼이었고,아내는 ... 옥수수를 쪄서 시장에 내다 파는 행상 이었습니다. "두 개? 하나? 글쎄, 찰옥수수라니까요"초여름 뙤약볕 아래 좌판을 벌이고옥수수를 파는 일은 참으로 고단했지만아내는 한 푼 두 푼 돈 모으 는 재미로 힘든 줄 몰랐습니다. 그날은 남편의 생일이었습니다.아내는 다른 날보다 일찍 장사를 끝낸 뒤남편 을 위해 선물을 사고고기며 찬거리들을 한아름 장만했 습니다. 그런데 ... 집으로 가는 길에 문제가 생겼습니다."잠깐..

카테고리 없음 2013.09.02

최고가 되기 위한 지침서

겸손 겸손하다는 것은 명예로운 마음가짐의 반영이고, 언제나 예의 바른 태도로 누구에게나 좋은 인상을 주는 것이며, 비난의 여지가 있는 행동거지를 피하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겸손한 사람은 다른 사람과 함께 있을 때나 혼자 있을 때나 늘 행동거지가 같다. 방 안에 혼자 있을 때조차도 부끄러운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다. 겸손하되 소심하거나 유약하게 굴어서는 안 된다. 겸손함은 우물쭈물 꼴사납게 수줍어하는 것과는 다른 태도다. 겸손한 행동은 칭찬을 받지만 수줍어하는 태도는 비난을 받는다. 지나치게 부끄럼을 타는 태도는 오만함과 마찬가지로 예의 바르지 못한 모습으로 비칠 수 있다. 허영심 허영심을 드러내는 것보다 더 위험한 것은 없다. 그것은 자신의 영혼의 격이 얼마나 하찮은가를 보여주는 증거일 뿐이다. 알맹이..

카테고리 없음 2013.09.01

세상살이는 낭만이 아냐~

현장에서 싸워서 이긴 사람에겐 학자들이 제공할 수 없는 현장감과 치열감 그리고 비장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도 실력주의 회사로 정평이 나 있는 와타미의 창업자 와타나베 미키 씨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1. 언제 어디서나 살아남는 강철 같은 회사를 원한다면 직원들에게 제대로 싸우는 방법을 가르쳐라. '싸우는 조직'이 결국엔 이긴다. #2. '질책하지 못하는 상사'가 느는 이유는 상대를 생각하지 않고 자신만을 생각하기 때문이다. 부하직원에게 미움을 받지 않으려고 질책을 피하는 사람의 친절은 진정성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이기주의에서 비롯된 기겁함이자 상대를 돕지 않는 냉정함이다 그러므로 제대로 된 질책은 애정의 다른 표현임에 분명하다. #3. 사람은 누구나 늙고, 경영자도 나이를 먹으면서 감각을..

카테고리 없음 2013.09.01

왕은 어씨하여 이익만을 묻는가?

왕은 어씨하여 이익만을 묻는가? 孟子見梁惠王하신대 王曰搜不遠千里而來하시니 맹자견양혜왕하신대 왕왈수불원천리이래하시니 亦將有以利吾國乎잇가 孟子對曰 王은 역장유이리오국호잇고 맹자대왈 왕은 何必曰利잇고, 亦有仁義而已矣니이다.하필왈리잇고 역유인의이이의이다[해설] 맹자가 양혜왕을 만나자 왕이 맹자에게 말씀하기를, '노인께서 천리 길을 멀다고 여기지 않고 이 곳까지 오셨으니, 앞으로 과인 의 나라에 무슨 이익이 될 만한 것이 있겠습니까? 하고 묻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왕께서는 하필이면 이익만을 물어십니까? 또한 인의(仁義)가 있을 뿐입니다' 라고 하였다. * 맹자가 양혜왕을 만나자 왕이 맹자에게 말씀하기를,'노인께서 천리 길을 멀다고 여기지 않고 이 곳까지 오셨으니, 앞으로 과인 의 나라에 무슨 이익을 될 만한 것..

카테고리 없음 2013.09.01

품격(品格) 있는 삶

품격(品格) 있는 삶 1. "스승님! "같은 이름의 물건이라도 그 품질에 상하가 있듯이, 사람의 품격(品格)에도 상하가 있지 않습니까?" “그러하지.” 2. “하오면, 어떠한 사람의 품격을 하(下)라 할 수 있겠습니까?” 3. “생각이 짧아 언행(言行)이 경망(輕妄)스럽고 욕심(慾心)에 따라 사는 사람을 하지하(下之下)라 할 수 있지.” 4. “하오면, 그보다 조금 나은 사람은 어떤 사람이옵니까?” 5. “재물(財物)과 지위(地位)에 의존(依存)하여 사는 사람의 품격(品格)은 하(下)라 할 수 있고, 6. 지식(知識)과 기술(技術)에 의지(依支)하여 사는 사람은 중(中)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니.......” 7. “상(上)의 품격을 지닌 사람은 어떠한 사람입니까?” 8. “자신(自身)의 분복(分福)에 만..

카테고리 없음 2013.09.01

감동실화 브라운과 주디스의 사랑

감동실화 브라운과 주디스의 사랑 1945년6월 런던 광장에서 육군중령 브라운은 시계탑을 보며 초조하게 누군가 기다렸다. 3년전 죽음의 공포속에 탈영한 경험이 있던 브라운은 우연한 기회에 젊은 여성작가 주디스의 책을 읽게 되었다. 전쟁 속에서 그녀의 글은 한 줄기 빛처럼 희망과 용기를 주었고 브라운은 용기를 내어 작가에게 편지를 썼다. 기대하지 않았던 답장이 2주후에 왔고 두 사람은 전쟁기간 중 많은 편지를 주고 받았다. 사랑의 감정이 싹튼 브라운이 주디스 사진을 보내줄 것을 청했다. 하지만 사진 대신 질책의 편지를 받게 되었다 “그토록 제 얼굴이 보고 싶으신가요? 당신이 말해왔듯이 당신이 정말로 저를 사랑한다면 제 얼굴이 아름답던 그렇지 못하던 그게 무슨 상관이 있나요? 만약 당신이 보시기에 얼굴이 추하..

카테고리 없음 2013.09.01

눈물의 할머니

눈물의 할머니 어느 시에선가 '어머니는 눈물입니다' 라는싯귀를 읽은 적이 있습니다. 내게는 그것이 곧바로 '할머니는 눈물입니다' 로읽혀졌습니다. 나는 태어나면서부터 할머니의 젖을 빨며 자랐습니다. 때문에 할머니와의 정이 참으로 각별할 수밖에없었습니다. 어린 시절 학교갔다 돌아와서 할머니가 집에 안계시면 울고 불고 난리를 피워댔습니다. 그리곤 바로 할머니가 가셨을 만한 곳을찾아다녔습니다. 할머니를 만나면 온 세상을 얻은 것처럼 환한 모습으로 달려가 안겼습니다. 할머니는 당신 밖에 모르는 손주 녀석을 물고 빨며예뻐서 어찌할 바를 모르셨습니다. 그 아름다운 광경을 드라마처럼 다시 한번만재현해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글/양택조님-

카테고리 없음 2013.09.01

조선판 사랑와 영혼 - 400년 전의 편지

조선판 사랑와 영혼 - 400년 전의 편지 “당신 언제나 나에게 둘이 머리 희어지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 하셨지요. 그런데 어찌 나를 두고 당신 먼저 가십니까? 나와 어린아이는 누구의 말을 듣고 어떻게 살라고 다 버리고 당신 먼저 가십니까” 남편을 보내며 아내가 썼던 이 한글 편지는 400년의 세월동안 어두운 무덤 속에서 망자와 함께 잠들어 있었다. 세부설명 1. 400년 전의 편지 남편이 죽은 후, 장례전까지의 짧은 시간에 씌여진 편지에는 지아비에 대한 아내의 그리움이 사무치게 드러나고 있다. 하고픈 말을 맺지 못한 채 종이가 다하자, 아내는 모서리를 돌려 다시 써내려가기 시작한다. 하지만 모서리를 채우고도 차마 끝을 맺지 못한 글은 편지의 처음으로 돌아와 거꾸로 씌여지고 있다. 2. 미투리의 정체 관에..

카테고리 없음 2013.08.31

한국, 잘 사는 법

멘슈어 올슨 교수의 마지막 저서인 (Power and Prosperity)의 결론 부분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어떻게 해야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나라가 될 수 있을까?) 첫째, 안정적이고 잘 정의된 개인적 권이다. 한 경제에서 개인이든 기업이든, 토착민이든 외국인이든 모든 참여자들이 그들이 선택해 맺은 계약에 대해 공평무사한 집행권을 갖는 경우에만 시장경제는 생산잠재력의 정점에 도달할 수 있다. 또 정점에 이루는 경우는 모든 참여자들이 안정된, 그리고 정확히 서술된 사유재산권을 가질 때이다. 이들 권리들은 자연이 부여한 것이 아니고 사회적 창안의 결과이다. #2. 둘째, 정부가 없으면 사유재산이 없다. 사유재산이 존재하는 경우는 사회가 다른 사적 참여자에 대항하여, 그리고 정부에 대항하여 소유에 대하..

카테고리 없음 2013.08.31

健 康 十 訓 (건강10훈)

♧健 康 十 訓 (건강10훈)♧ 1. 小肉多菜(소육다채) ; 고기를 적게 먹고, 채소를 많이 먹자. 2. 小糖多果(소당다과) ; 설탕을 적게 먹고, 과일을 많이 먹자. 3. 小鹽多醋(소염다초) ; 소금을 적게 먹고, 식초를 많이 먹자. 4. 小食多爵(소식다작) ; 적게 먹되, 여러번 씹어 먹자. 5. 小衣多浴(소의다욕) ; 옷은 얇게 입고, 목욕을 자주 하자. 6. 小煩多眠(소번다면) ; 번뇌를 끊고, 잠을 깊이 자도록 하자. 7. 小言多行(소언다행) ; 말을 적게 하고, 행동을 많이 하자. 8. 小慾多施(소욕다시) ; 욕심을 버리고, 타인에게 많이 베풀자. 9. 小怒多笑(소노다소) ; 성냄을 적게 하고, 많이 웃고 살자. 10. 小車多步(소차다보) ; 차를 적게 타고, 많이 걷자. ◆◆◆옮겨온 글◆◆◆

카테고리 없음 2013.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