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희망을 주는 동기부여

인간의도리인오대덕목(五大德目)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지키자.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한글 사랑은 애국입니다

조경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

한문 32

오대덕목(五大德目)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국보1호 숭례문(崇禮門) 새로 복원된 사진♣ 오대덕목(五大德目)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유교에서 말하는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은 인간이 지켜야할 5가지 기본덕목을 말하고 있지요 이는 오륜(五倫)과 함께 유교윤리의 근본을 이루고 있어요 맹자(孟子)가 주창한 인(仁) ·의(義) ·예(禮) ·지(智) 네가지 사덕(四德)에 한대(漢代)의 유학자 동중서(董仲舒)가 한가지 신(信)의 덕(德)을 보태어 인간의 기본적인 덕목이 오대덕목(五大德目)이 되었지요 또한 인의예지신 을 오상의 덕이라고도 하는데 한자로는 오상지덕(五常之德)이라 하지요 맹자가 말하기를 측은지심은 인이요, 수오지심은 의이고, 사양지심은 예라 했지요 그리고 시비지심은 지라 했구요 인의예지는 바깥에서부터 나에게로 녹아들어온 것이 아니라 나에게 있어서 고..

카테고리 없음 2013.08.12

틀리기 쉬운 한자 표기

틀리기 쉬운 한자 표기 한글 표기 맞는 표기 틀린 표기 설 명 가정부 家政婦 家庭婦 家庭: 사회집단, 家政: 집안 살림을 다스림 각기 各其 各己 각기 저마다 개별적인 개념 강의 講義 講議 뜻을 풀어서 가르친다는 의미 경품 景品 競品 상품 이외에 곁들여 주는 물건 골자 骨子 骨字 일이나 말의 요긴한 줄거리 교사 校舍 敎舍 학교의 건물 / [동음어] 敎師, 敎唆 기적 奇蹟 奇跡 사람이 불가능 한 신기한 일/ 跡은 발자취 납부금 納付金 納附金 세금 등을 관청에 내는 일 / 付는 주다 녹음기 錄音器 錄音機 예외적 적용 / 器는 무동력, 機는 동력 농기계 農機械 農器械 농사에 쓰여지는 동력 기계 농기구 農器具 農機具 농업에 사용되는 모든 기계나 도구의 총칭 대기발령 待機發令 待期發令 待機는 공무원의 대명(待命) ..

카테고리 없음 2013.08.09

지애간축(知愛看畜)

// 유한준(兪漢雋, 1732∼1811) 조선 후기의 문장가로 서화에도 재능을 지녔던 학자. 본관은 기계(杞溪). 초명은 한경(漢炅). 자는 만청(曼倩) 또는 여성(汝成), 호는 저암(著菴) 또는 창애(蒼厓). 1768년(영조 44) 진사시에 합격한 뒤 김포군수 등을 역임하고 형조참의에 이르렀다 남유용(南有容)의 제자로 송시열(宋時烈)을 추모하여 《송자대전 宋子大全》을 놓지 않았다고 한다. 당대에 뛰어난 문장가로 손꼽혔으며 저서로 《저암집》이 전해온다. 그림에 대한 재능도 거론되지만 그것을 입증할 유작은 알려진 것이 없으며, 화우(畵友)들이 많았던듯, 당시 화가들의 그림에서 제발문(題跋文)을 심심하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지애간축(知愛看畜)...이라. 조선 후기 문장가이자 회화 평론가였던 兪漢雋 선생은..

카테고리 없음 2013.07.24

구미속초(狗尾續貂)

// 구미속초(狗尾續貂)...이라. 도저히 진품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 진품행세를 하는 경우 구미속초라고 합니다. 개 狗자에 꼬리 尾자, 구미, 개 꼬리가 이을 속자에 담지 貂자, 담비의 꼬리를 대신한다는 뜻입니다. 원래는 담비 꼬리가 있어야 하지만 담비꼬리가 워낙 모자라다 보니 개꼬리를 대용으로 사용하여 담비 꼬리처럼 보이게 한다는 것입니다. 이 말의 출전은 중국 역사서 중에 하나인 진서晉書입니다. 진나라 사마륜은 황제와 황후를 살해하고 정권을 잡아 스스로 황제에 올랐습니다. 그리고 그의 친구들과 친척들을 모두 벼슬을 주어 등용하였습니다. 당시 벼슬을 가진 사람은 담비 꼬리를 머리에 장식하고 조정에 나갔는데 너무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벼슬에 오르자 담비 꼬리가 품기 현상이 일어 더 이상 공급할 수 없..

카테고리 없음 2013.07.22

一切唯心造

一切唯心造 (일체유심조) 원효스님이 의상스님과 함께 당나라 유학길에 나섰다가 폭풍우를 피해 무덤 속에서 잠을 자게된 이야기는 달리 이렇게도 전해집니다. 원효스님과 의상스님은 무덤 속인지를 모르고 피곤에 지친 몸을 뉘고 곤히 잠이 들었습니다. 원효스님께서는 갈증을 느껴 더듬거리며 바가지의 물을 찾아 마셨습니다. 그리곤 다시 깊은 잠에 빠졌습니다. 이튿날 깨어보니 원효스님께서 마신 물은 바로 해골바가지에 고인 썩은 물이었습니다. 그리고 주변에 죽은 사람의 해골들이 굴러다니고 있었습니다. 갑자기 스님의 뱃속이 뒤집어지며 참을 수 없는 구역질로 뱃속의 모든 것을 토해내었습니다. "해골바가지의 물이 변한 것도 아닌데 한밤중에 마신 물은 어찌 달콤하였고 지금의 썩어빠진 물은 어찌 내 속을 뒤집어 놓는 걸까? 이는 ..

카테고리 없음 2013.07.17

李退溪 活人心方

李退溪 活人心方 의사가 힘을 다해서 치료해도 고쳐지지 않는 병이 있다. 이럴 때에 좋은 약이 된다. 모든 병은 氣가 쇠약해졌을 때에 거침없이 사람의 몸 안으로 밀고 들어온다. 그러니까 元氣를 보하고 邪氣를 막아 주면, 모든 병을 물리치고 오래도록 편안하게 살 수 있다. 그 방법으로 다음 처방을 만들었으니 잘 새겨 익히고 적절하게 행하면 효과를 보게 될 것이다 01. 사무사 思無邪 - 사악한 일을 생각하지 말아라 02. 행호사 行好事 - 좋은 일만 행하라 03. 막기심 莫欺心 - 스스로 마음을 속이지 말아라 04. 행방편 行方便 - 편안하게 행동하라 05. 수본분 守本分 - 자기 분수를 지켜라 06. 막질투 莫嫉妬 - 샘을 내거나 시기하지 말아라 07. 제교사 除狡詐 - 간사하고 교활한 마음을 버려라 08..

카테고리 없음 2013.07.17

후덕재물(厚德載物)

// 후덕재물(厚德載物)...이라.두터울후(厚).큰덕(德).실을재(載).만물물(物 중국의 떠오르는 새 지도자 시진핑은 2010년 10월. 당중앙 군사위 부주석에 오르면서 차기 지도자로 사실상 확정되었지요. 시진핑은 공산당 잡지 ‘구시(求是)’에 기고한 글에서 관리의 덕(官德)을 강조한 적이 있는데요. 덕(德)은 시진핑 리더십의 키워드이기도 하지요. 또한 그가 졸업한 칭화대의 교훈이기도한. 후덕재물(厚德載物)은 덕을 두텁게하여 만물을 포용한다는 의미인데 고향의 생가에도. 같은 글을 현판으로 걸 정도로德을 우선으로 중시한다고 합니다. 한나라의 지도자로서 중요한 덕목이라 생각합니다.

카테고리 없음 2013.07.14

정문일침(頂門一鍼)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국보(國甫), 호는 회헌(晦軒). 아버지는 우의정 태채(泰采)이다. 1714년(숙종 40) 증광문과에 급제한 후, 검열·수찬·전적 등을 역임했다. 대간의 탄핵으로 한때 파직되었다가 다시 기용되어 승지·이조참의 등을 지냈다. 정문일침(頂門一鍼)...이라. 우리는 한 방에 급소를 찔러. 문제를 일거에 해결하는 것을 一針을 놓는다고 합니다. 頂門은 정수리 위에 있는 중요한 급소 혈 자리입니다. 일침은 그곳에 침을 꽂는다는 뜻으로 한 방에 모든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하는 말이 정문일침입니다. 조선후기 학자였던 조관빈(趙觀彬) 선생은 특히 말 한마디를 하더라도 일침을 가하는 무게 있는 말을 하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難施一針이면, 可法三緘이라! 일침을 가하여 상대방을 제압하지 못할 것..

카테고리 없음 2013.07.11

달기노심(達其怒心)

달기노심(達其怒心)...이라. 에 보면 호랑이를 길들이는 사육사는 호랑이의 기분과 상태를잘 살펴서 길러야 큰 화를 면할 수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達其怒心, 호랑이가 성이 났을 때는 잘 달래서 그 기분을 조절시켜야 한다는 뜻입니다. 時其飢飽하여 達其怒心이라! 호랑이가 배가 고픈지 배가 부른지 그 상황을 잘 파악하여 호랑이의 분노를 달랠 줄 알아야 훌륭한 사육사인 것이다. 虎之與人異類, 호랑이와 사람은 비록 다른 종류이지만 媚養己者 順也오, 자신에게 잘 해주는 사람에게는 순종하고. 故其殺者 逆也라! 자기를 죽이려는 자에게는 덤벼드는 것이다. 관계를 유지하는데 가장 큰 장애가 되는 것은. 감정조절의 실패라고 합니다. 결국 내 감정을 앞세우기 보다는 상대방을 인정하고 대응하는 것이 상책입니다.

카테고리 없음 2013.07.09

중국명산속에 알아야할 한자상식

중국명산속에 알아야할 한자상식 1. 文房四友 [문방사우] 서재에 갖추어야 할 네 벗인 지(紙)·필(筆)·묵(墨)·연(硯), 곧 종이·붓·먹·벼루의 네 가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身言書判 [신언서판] 중국 당나라 때 관리를 등용하는 시험에서인물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던 기준. 즉, 몸[體貌]·말씨[言辯]·글씨[筆跡]·판단[文理]의 네 가지를 이르는 말. 3. 四君子 [사군자] [품성이 군자와 같이 고결하다는 뜻으로]‘매화·난초·국화·대나무’의 넷을 이르는 말. 4. 七去之惡 [칠거지악] (지난날, 유교적 관념에서 이르던)아내를 버릴 수 있는 이유가 되는 일곱 가지 경우. 1.시부모에게 불순한 경우 2. 자식을 낳지 못하는 경우 3.음탕한 경우 4.질투하는 경우 5.나쁜 병이 있는 경우 6.말이 많은 경우..

카테고리 없음 2013.06.12